경제·금융

[국책연구기관] "삼성차 부산공장 청산해야"

한국개발연구원(KDI) 등 국책연구기관 연구원들은 삼성자동차 부산공장은 과잉설비 해소차원에서 시장경제 원리에 따라 청산돼야 한다는 의견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 부산공장의 설비는 전자부품이나 벤처업종을 위한 생산적인 시설로 전환돼야 한다고 주장했다.이같은 입장은 「부산정서」를 감안해 부산공장 가동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정부의 의견과 다른 것이어서 주목된다. 남일총(南逸聰) KDI 법경제팀장은 7일 『삼성자동차 부산공장은 가동하면 할수록 손해인 만큼 그 설비를 구입하려는 업체들이 국내외에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면서 『따라서 공장 자체를 청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그는 개인의견이라고 전제하면서 『대우그룹도 손해가 발생하는 부실공장을 인수할 이유가 없으며 공장 자체가 대우에 아무런 도움도 주지 못한다』면서 『만약 대우가 인수의사를 갖고 있다면 구제금융 등의 반대급부에 관심이 있기 때문으로 해석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일부에서는 부산경제를 위해 삼성차 부산공장을 계속 가동해야 한다고 주장하나 그들 자신이 피해를 입지 않기 위해 다른 사람에게 손해를 감수하면서 가동하라고 요구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지적했다. 南팀장은 『삼성자동차 부산공장을 포기하고 부지는 아파트단지 등 다른 생산적인 용도로 전용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김준동(金準東)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투자정책실 연구위원은 『경쟁력 강화를 위해 과잉설비를 유지한다면 수입선다변화 해제로 일제차가 들어오는 마당에 우리 자동차산업의 경쟁력을 크게 떨어뜨릴 수 있다』고 경고했다. 金연구위원은 『자동차산업 자체가 이미 전세계적으로 포화상태여서 국제적인 자동차 기업들도 현지공장을 폐쇄하는 등 구조조정에 나서고 있다』며 부산공장을 폐쇄해 전자부품이나 벤처업종 시설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미국의 포드사가 기아자동차를 매입하는 데 가장 큰 걸림돌이 한국의 과잉설비였다』며 『대부분의 외국투자가들도 과잉설비 해소차원에서 부산공장을 폐쇄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다』고 전했다. /온종훈 기자 JHOHN@SED.CO.KR

관련기사



온종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