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崔가 버티면 임시全大 힘들어

한나라당 소장파와 중진들이 내달 중순에 임시전당대회를 밀어붙일 수 있을까. 결론부터 말하면 최병렬 대표가 사퇴하지 않으면 물리적으로 어렵다는 게 중론이다. “최 대표의 결정과 관계 없이 전당대회를 추진하겠다”는 소장파의 공언은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것이다.소장파와 중진 의원들은 19일 낮 국회에서 확대 모임을 갖고 전당대회를 열기 위한 로드맵을 확정했다. 이들은 상임운영위원 당직자 시도지사 의원 및 지구당 위원장 등 800명으로 구성된 당원 대표자 대회를 소집, 전당대회와 관련한 당헌ㆍ당규를 개정하기로 했다. 현행 당헌ㆍ당규는 대의원 선거인단이 대표를 선출하고 전당대회는 이를 추인하는 권한만 부여하고 있다. 그러나 23만명의 선거인단이 참여한 지난해 6월 대표경선 방식을 지금 채택하는 것은 시간 상 불가능하다. 따라서 수천명 규모의 대의원이 전당대회에 모여 대표를 뽑을 수 있도록 규정을 바꾸겠다는 것이다. 이에 앞서 운영위는 당원 대표자회의 소집을 의결해야 한다. 그런데 문제는 대표자 회의든, 운영위든 의사봉을 쥐고 회의를 주재할 사람은 최 대표라는 점이다. 최 대표가 사퇴를 거부한 채 회의를 열지 않거나 안건 의결을 미루면 전당대회를 위한 합법적인 결정은 내릴 수 없다. 전당대회 준비 실무책임을 맡고 있는 정병국 의원은 “이런 상황이 되면 어떻게 하겠느냐”고 묻자 “결국 최 대표가 사퇴할 것”이라는 대답만 반복했다. 뾰족한 대응책이 없다는 뜻이다. 최 대표가 버틸 경우 분당사태가 벌어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는 배경 중 하나다. <유성식 기자 ssyoo@hk.co.kr>

관련기사



유성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