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경남도 어업면허 관리 전산화시스템 구축·운영

경남도가 지금까지 수작업에 의존하던 어업 면허나 해상 종묘 생산을 전산화 시스템으로 전환, 어업인들에게 신속한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했다. 경남도는 현행 연안 시ㆍ군에서 수작업에 의해 기록, 관리하고 있는 어업면허, 해상 종묘 생산, 정치성구획 어업허가 등 4,000건의 어업권 관리를 '어업면허 전산화 시스템'을 구축해 운영한다고 18일 밝혔다. 어업면허 전산화는 총사업비 4억5,000만원을 투입해 지난해 6월부터 지난 1월까지 경남도 어업권과 관련해 전자 시스템을 구축한 것. 시스템 중 전자 어장도는 '어업면허의 관리 등에 관한 규칙'에 의한 것으로 '토지대장 지적도'와 같은 기능을 하는 해상 어업권 공간지도로, 수산업법이 시행된 1961년 이후 현재까지 수작업으로 관리해 쉽게 훼손되고 공유수면 매립 등으로 인한 연안 지형의 변화에 대처하지 못한다는 문제를 받아왔다. 특히 지금까지 방위각과 거리, 동경측지계 등 혼합 방식으로 표시하던 어장도 해상표시를 지난 2001년 의무화 된 세계측지계 표기로 전환했다. 이 같은 전산화 시스템 구축으로 시군별 어장 관련 각종 정보에 대한 실시간 수집, 분석은 물론 체계적인 어장이용 개발 정책 수립 등이 가능할 것으로 보여 어업권 및 어업허가 어업인들의 불편 해소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경남도 관계자는 "어업면허 처분, 민원서류 발급, 각종 재해발생 등 어업권 전반을 신속히 파악 할 수 있는 전산시스템이 구축됨으로 과거의 문제점들을 모두 해소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