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유럽·일본은 "예상했던 수준"… 통화정책 기조 일단 유지

[美 6,000억弗 2차 양적완화]<br>유로화 강세 지속되면 ECB 출구전략 시행 지연<br>日 외환시장 안정…추가 금융완화 가능성 낮아져

미국의 2차 양적 완화 조치가 당초 예상 범위에 머물면서 유럽과 일본은 일단 통화정책을 '관망' 기조로 끌고 갈 것으로 보인다. 다만 미국의 양적 완화로 유로화 강세가 이어질 경우 유럽중앙은행(ECB)이 추진하려던 출구전략 시행은 다소 늦춰질 것으로 전망된다. 4일부터 이틀간의 금융정책결정회의에 돌입한 일본은행의 시라카와 마사아키(白川方明) 총재는 이날 한 강연에서 향후 통화정책에 대해 "경제와 물가 정세를 면밀히 점검해 적절한 정책대응을 하겠다"는 원론적 입장을 밝혔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전했다. 그는 전날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단행한 추가 양적 완화 조치에 대해서는 언급을 피했다. 일본은행은 미국의 양적 완화 조치를 의식해 당초 11월 중순으로 예정됐던 금융정책결정회의를 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이튿날로 앞당겼다. 미국이 대규모 양적 완화로 엔고(高)를 부추긴다면 일본도 곧바로 추가 완화로 맞대응하겠다는 의도로 해석된다. 하지만 FOMC 이후 외환시장이 안정된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일본이 '액션'을 취할 가능성은 희박해졌다. 도카이도쿄증권의 외환전략 담당인 사노 가즈히코는 "FRB의 결정이 시장의 기대 수준이었던 만큼 일본은행이 정책변화를 일으킬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말했다. 물론 단기적인 시장안정을 근거로 속단하기는 이르다. 센고쿠 요시토(仙谷由人) 관방장관은 이날 미국의 양적 완화가 외환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지금의 사태를 어떻게 해석할지는 어려운 문제"라며 "여러 지표를 주의 깊게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외환시장 동향이 급변한다면 일본 정부가 2차 금융완화를 검토할 수도 있다. 한편 4일(현지시간) 열리는 ECB 통화정책회의에서는 기준금리 동결(1%)이 확실시된다. 일단은 기존 통화정책 기조가 유지된다는 뜻이다. 다만 미국의 2차 양적 완화 조치로 ECB가 추진하려는 출구전략 실행은 다소 늦춰질 가능성이 크다고 블룸버그통신은 전했다. 통신은 미국의 양적 완화로 달러화 대비 유로화 가치가 상승, 수출기업들에 타격을 입히면서 유럽 경기회복의 발목을 잡을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신경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