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시 행사경비 1,800억 줄여 일자리 4만4,600개 더 만든다

서울시와 자치구가 행사ㆍ축제성 경비 등 1,800억원을 절감해 일자리 창출 사업에 투입한다. 시는 이를 통해 올해 하반기 일자리 창출 규모를 당초 목표보다 4만4,600개 늘어난 10만9,200여개로 확대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18일 기존 일자리 정책을 한단계 격상시킨 이 같은 내용의 ‘2단계 일자리 창출 특별대책’을 발표했다. 시는 행사ㆍ축제성 경비, 경상경비, 사업비 등을 5% 가량 절감해 1,020억원의 예산을 확보키로 했다. 우선 경상경비(업무추진비, 여비 등) 8,000억원 가운데 400억원을, 행사ㆍ축제경비 800억여원 중 40억여원을 절감한다. 시는 올해 예정된 행사ㆍ축제 총 162건 가운데 ‘월드씨름챔피언십’, ‘세종이야기 한국어 세계화 축제’, 뮤지컬 정순왕후’등을 취소키로 했으며, 나머지 행사와 축제도 규모를 최대한 줄여 예산을 절감할 방침이다. 또 기존 사업의 원가분석을 강화하고, 일부 사업을 내년으로 미루는 등의 방식으로 570억원을 확보할 계획이다. 시는 이렇게 절감된 예산으로 주거취약계층 시설개선, 재해취약시설 정비, 등산로 공원 등 도시환경정비 사업에 856억여원을 투입해 1만5,200개의 공공일자리를 창출키로 했다. 민간 일자리 창출에는 총 162억여원의 예산이 추가 투입된다. 올해 250개 발굴을 목표로 했던 예비적 사회적 기업을 300개로 늘려 1,400개의 일자리를 추가로 만들고, 조기퇴직자와 청년층 직업훈련 대상을 기존 750명에서 2,250명으로 늘리기로 했다. 여기에는 총 92억여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근로자수가 5인 미만인 소상공인들의 은행대출이자 일부를 지원해주는 ‘중소기업육성자금’도 70억원 가량 늘리기로 했다. 25개 시 자치구와 시 투자출연기관은 각각 505억원과 290억원의 예산을 절감해 1만2,700개의 일자리를 창출한다. 시는 일자리 창출 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서울시 일자리협의회’위원장을 행정1부시장에서 서울시장으로 격상하고, 행정1부시장을 본부장으로 하는 ‘일자리창출대책본부’를 구성키로 했다. 또 실·국·본부 및 투자출연기관의 일자리 창출 성과를 향후 업무평가에 반영해 우수기관이나 부서에 인센티브를 부여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