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리밸런싱 들어간 중국 경제 차 웃고… 원자재시장 울리고…

내수·소비 중심 변화에 희비

수출과 투자 중심으로 고성장을 이어오던 중국이 경기둔화를 다소 용인하며 내수ㆍ소비 중심 경제로 옮겨가는 '리밸런싱(재구조화)'에 나서면서 글로벌 경제에 적잖은 충격이 가해지고 있다. 중국의 경기둔화가 산업계 전반에 우려를 초래하고 있지만 큰 타격이 예상되는 원자재 부문과 달리 구매잠재력이 큰 자동차 산업은 장기적 호황이 예고되는 등 국가나 업종별로 희비가 엇갈릴 것으로 예상된다.

24일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자동차 산업은 중국 경제 구조개혁의 대표적 수혜업종으로 꼽힌다. 경기둔화에 따른 소비위축 우려에도 중국이 7%대 성장을 거듭하고 있고 정부의 내수촉진책이 더해지면서 차량수요의 장기적 증가세가 예상되기 때문이다. 실제 올 상반기 유럽연합(EU) 내 자동차 판매량이 7% 줄어든 반면 중국 시장은 14% 확대됐다. FT에 따르면 중국의 인구 1,000명당 차량보유는 60여대로 EU(500대)보다 훨씬 낮아 구매잠재력도 크다.


반면 자동차를 제외한 화학·기계공업을 비롯해 의류 등 기타 제조업은 중국 경기둔화에 따른 제한적 타격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주요 화학ㆍ정밀기계 수출국인 독일의 올 상반기 대중국 수출은 전년동기보다 7% 줄었다. 이는 국내총생산(GDP)의 0.5%에 상당하는 감소폭이다. 명품산업도 성장세가 한풀 꺾였다. 컨설팅 업체 베인앤드컴퍼니는 루이비통·샤넬 등 고가 명품업체의 올해 중국 내 판매량이 전년비 6~8% 증가에 그쳐 20% 성장을 기록했던 지난해보다 크게 둔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중국이 7%대의 경제성장률을 유지하는 만큼 제조업 전반이 견조한 상승세를 이어갈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관측이다.

관련기사



원자재시장은 중장기적 타격이 불가피하다. 주요 원자재의 최대 수요처인 중국 경기가 둔화조짐을 보이면서 이미 철광석·석탄·구리 등의 가격이 줄줄이 하락, 호주·브라질(철광석)을 비롯해 인도네시아(석탄) 등 원자재 수출국가들은 환율상승과 금융시장 불안에 시달리는 형편이다.

다만 일각에서는 중국의 소비여력을 끌어들일 산업을 적극 육성해 위기를 기회로 바꿀 수 있다는 낙관적 주장도 제기된다. 미국 재계에서는 중국인들의 의료관광 및 미국산 농산품의 중국 수출이 늘 것으로 기대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종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