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AI 확산되면 한국 또 금융위기"

금감원, 올해 금융위기 요인 13제 선정

"AI 확산되면 한국 또 금융위기" 금감원, 올해 금융위기 요인 13제 선정 (서울=연합뉴스) 권영석 기자 관련기사 • 금감원 선정 '금융위기 요인 13제' AI(조류인플루엔자)가 확산되면 금융회사 직원들의 대량 결근사태가 발생하고 텔레뱅킹이나 인터넷뱅킹 폭주로 결제시스템이 마비되는 등 금융위기 요인이 될 것이란 경고가 나왔다. 또 미국발 부동산 거품 붕괴가 전염효과를 통해 국내로 전파되고 하반기 이후부동산 중과세가 적용되면 비인기지역 아파트를 중심으로 부동산가격이 하락할 가능성도 한국의 금융위기를 초래할 수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금융감독원은 13일 `2006 금융리스크 분석' 보고서에서 올해 금융시장의 안정과금융회사 건전성, 가계와 기업의 채무상환능력에 치명타를 가할 수 있는 금융위기요인 13개를 처음으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금융감독 당국이 선정한 올해의 금융위기 요인을 보면 대외적으로는 AI 확산,초대형 자연재해, 국제 고유가 지속, 미국 달러화 약세 반전, 국제금리 상승, 세계적 과잉 유동성 현상 지속 등 6개다. 또 대내적인 금융위기 요인으로는 부동산 가격 하락과 원.달러 환율 하락 및 원화가치 상승, 주식시장 과열 가능성, 경제 양극화, 가계부채 부실화, 국내 금리 상승, 신종 금융사기 발생 등 7개가 선정됐다. 보고서는 "AI가 확산되면 세계경제가 타격을 받으며 국내 금융회사 직원들의 대량 결근사태가 생기고 현금인출 급증으로 은행 유동성이 압박을 받으며 기업 자금조달도 어려워질 것"으로 우려했다. 금감원은 또 "미국발 부동산거품 붕괴가 국내로 전파되고 올 하반기 부동산 중과세 조치로 국내 부동산값이 하락하면 건설경기 위축과 가계 부채상환능력 감소,중소기업 부실을 초래할 것"으로 분석했다. 보고서는 이어 "최근 과열 가능성이 높아지고 증시 활황이 머니게임으로 변질될경우 과열에 따른 후유증이 커질 것"이라며 "주가가 급락할 경우 경기회복세가 둔화되고 증시 불안정이 확대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금감원은 "특히 경제 양극화가 심화될 경우 영세 중소기업과 저소득층이 늘어나면서 지방 소재 서민금융회사의 건전성이 악화되고 금융 소외계층이 양산되는 등 사회경제적 문제를 야기할 것"으로 예상했다. 박동순 금감원 거시감독국장은 "금감원은 작년부터 금융사고나 위기 상황이 발생한 이후 위규 사항을 적발하는 방식에서 사고나 위기 요인을 사전 예방하는 방식으로 감독 방식을 완전 전환했다"고 설명했다. 박 국장은 "이에 따라 국내외 거시경제나 금융 여건 변화로 인한 리스크 요인을 미리 발굴하여 사전 대응을 유도하도록 하기 위해 이번에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리스크 요인을 선정하게 된 것"이라고 말했다. 입력시간 : 2006/02/13 09:12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