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덤핑금리'에 시장 춤춘다

당국 고강도 대출규제·금리인상 유보까지

금융사 여수신 자금수급 붕괴… 코픽스 금리 6개월 연속 최저


저금리에 이은 정부 당국의 고강도 대출 규제 여파로 내려갈 대로 내려간 시장 금리가 또다시 요동치고 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최근 기준금리 인상에 유보적인 발언을 꺼낸 데 이어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후보자까지 경기부양에 초점을 두면서 금융시장은 물론 금융회사의 상품 전략과 여수신 금리에까지 연쇄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다. 가뜩이나 대출 금리 하락으로 골머리를 앓고 있는 은행 등 금융사들은 정책당국이 발산하고 있는 금리인하 시그널에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여수신 자금의 수급이 사실상 붕괴되는 가운데 금융사들은 고강도 규제에 맞추기 위해 '금리 덤핑'에 나서고 있으며 이에 따라 수익성 고갈 등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

고객도 자금운용에 헷갈려 하고 있다. 당장 하반기 금리인상 등을 예상하고 머니마켓펀드(MMF) 등에 자금을 묻어뒀던 고객, 이자수익이 줄게 된 베이비부머 등 은퇴 생활자와 자산가들의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16일 금융계에 따르면 대출 규제와 부양용 금리 정책이 동반되면서 시중 금리가 춤을 추고 있다. 주택담보대출 기준금리로 이용되는 코픽스(COFIX) 금리는 2.58%(신규취급액 기준)로 6개월 연속 하락했다.

관련기사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이미 고정금리가 변동금리보다 더 싼 상품이 나왔는데 금리인하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금리의 이상 기류가 더 심해지고 있다.

이미 농협·기업·외환은행의 고정금리대출 최저 금리는 3.2%대까지 내려왔다. 당국의 규제로 고정금리 대출 비중을 연내 20%까지 맞춰야 하는 은행의 절박함이 커지면서 장단기 금융상품의 금리가 역전되는 등 왜곡현상이 심해지고 있다.

하반기로 갈수록 금리가 오를 것으로 기대했던 금융사로서는 여수신 등 자금 수급에도 비상이 걸렸다. 올 초만 해도 은행들은 장기 수신 금리를 올려 금리인상에 대비했지만 이런 조치가 무색하게 된 것이다.

실제 신한은행은 지난 13일 2년제 예금상품 금리를 0.15%포인트 인하하는 등 만기 2년 이상의 금리를 일제히 내렸다. 이번 금리인하로 현재 1년제와 2년제 예금 간 금리차는 0.10%포인트로 올 1·4분기 0.25%에서 다시 줄어들었다. 이달 신한생명의 저축성보험 6월 공시이율은 3.93%, 농협생명은 3.85%까지 내리는 등 보험사들도 금리인하에 나섰다. 손상호 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금리인하 가능성은 정책 효과가 의문시되는 상황에서 시장 금리를 왜곡시키고 금융사의 실적만 악화시키지 않을까 염려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