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조림투자엔 印尼가 최적"<br>■ 다리얀토 산림부 개발청장
| 하디 다리얀토 |
|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해 신재생에너지 붐이 일면서 조림사업 등에 대한 외국인투자가 크게 늘고 있습니다. 앞으로 조림투자나 산림보전이 탄소배출권 확보와 연계될 것이므로 인도네시아 정부도 기후변화 대응 환경서비스를 강화할 방침입니다."
인도네시아에서 산림개발 및 조림사업 허가를 받으려면 반드시 거쳐야 하는 관문인 산림부의 하디 다리얀토 개발청장은 서울경제와의 인터뷰에서 "외국인 조림 투자를 집중화ㆍ규모화해 산림산업 발전과 경제성장에 기여하도록 할 계획"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다리얀토 청장은 "우드펠릿 같은 신재생에너지 자원을 확보하려면 넓은 토지ㆍ산림, 풍부한 노동력을 가진 인도네시아가 유리하다"며 "조림사업을 통해 목재 등을 얻고 그 부산물, 합판‧제재회사에서 버려지는 톱밥ㆍ죽데기 등으로 펠릿을 생산하면 수익성도 높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어떤 나라들이 인도네시아 조림사업 등 투자에 적극적인가.
▦탄소배출권 거래시장이 있는 미국ㆍ유럽연합(EU)과 영국ㆍ한국 등에서 '신규조림ㆍ재조림을 통한 청정개발체제(AR-CDM)' 사업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하거나 투자하는 단계다. 우드펠릿 분야에서는 한국 기업 위주로 투자가 이뤄지고 있다. 일본과 인도네시아의 대기업들은 야자 열매의 전분인 사고(sago) 등을 이용해 에탄올을 생산하는 사업도 검토하고 있다.
-바이오연료 확보 경쟁이 치열한데.
▦선진국의 환경우선정책, 한국의 녹색성장정책 등에 따라 석탄 등 화석연료 사용이 점차 제한되면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바이오디젤로 쓸 수 있는 팜유의 경우 유럽에서 "기름야자나무 재배가 산림파괴를 유발한다"며 이용을 제한하고 있지만 중국ㆍ인도 등 거대한 시장이 있기 때문에 여전히 전망이 밝다(팜유는 마가린ㆍ쇼트닝ㆍ비누ㆍ윤활유 등의 원료로 많이 쓰이고 있다).
-탄소배출권과 연계된 조림사업에 대한 인도네시아 정부의 비전은.
▦현재 유엔이 산림분야에서 탄소배출권 거래를 인정해주는 사업은 AR-CDM 뿐인데 조건이 까다로워 대상지 발굴이 매우 어렵다. 그래서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에서 논의되고 있는 'REDD+(산림의 다른 용도 전용을 막는 기업 조림지에 대해서도 탄소배출권을 인정)'에 큰 관심을 갖고 있다.
향후 REDD+가 발효되면 한국 투자자도 조림허가를 받은 사업자와 합작해 탄소배출권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우리는 국유림의 경우 조림허가를 받은 사업자와 투자자에게 배출권의 70%(지역주민 소유 산림은 지역주민에게 70%)를 분배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