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산림산업을 키우자] "넓은 토지·산림, 노동력 풍부…"

"외국인 조림투자엔 印尼가 최적"<br>■ 다리얀토 산림부 개발청장

하디 다리얀토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해 신재생에너지 붐이 일면서 조림사업 등에 대한 외국인투자가 크게 늘고 있습니다. 앞으로 조림투자나 산림보전이 탄소배출권 확보와 연계될 것이므로 인도네시아 정부도 기후변화 대응 환경서비스를 강화할 방침입니다." 인도네시아에서 산림개발 및 조림사업 허가를 받으려면 반드시 거쳐야 하는 관문인 산림부의 하디 다리얀토 개발청장은 서울경제와의 인터뷰에서 "외국인 조림 투자를 집중화ㆍ규모화해 산림산업 발전과 경제성장에 기여하도록 할 계획"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다리얀토 청장은 "우드펠릿 같은 신재생에너지 자원을 확보하려면 넓은 토지ㆍ산림, 풍부한 노동력을 가진 인도네시아가 유리하다"며 "조림사업을 통해 목재 등을 얻고 그 부산물, 합판‧제재회사에서 버려지는 톱밥ㆍ죽데기 등으로 펠릿을 생산하면 수익성도 높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어떤 나라들이 인도네시아 조림사업 등 투자에 적극적인가. ▦탄소배출권 거래시장이 있는 미국ㆍ유럽연합(EU)과 영국ㆍ한국 등에서 '신규조림ㆍ재조림을 통한 청정개발체제(AR-CDM)' 사업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하거나 투자하는 단계다. 우드펠릿 분야에서는 한국 기업 위주로 투자가 이뤄지고 있다. 일본과 인도네시아의 대기업들은 야자 열매의 전분인 사고(sago) 등을 이용해 에탄올을 생산하는 사업도 검토하고 있다. -바이오연료 확보 경쟁이 치열한데. ▦선진국의 환경우선정책, 한국의 녹색성장정책 등에 따라 석탄 등 화석연료 사용이 점차 제한되면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바이오디젤로 쓸 수 있는 팜유의 경우 유럽에서 "기름야자나무 재배가 산림파괴를 유발한다"며 이용을 제한하고 있지만 중국ㆍ인도 등 거대한 시장이 있기 때문에 여전히 전망이 밝다(팜유는 마가린ㆍ쇼트닝ㆍ비누ㆍ윤활유 등의 원료로 많이 쓰이고 있다). -탄소배출권과 연계된 조림사업에 대한 인도네시아 정부의 비전은. ▦현재 유엔이 산림분야에서 탄소배출권 거래를 인정해주는 사업은 AR-CDM 뿐인데 조건이 까다로워 대상지 발굴이 매우 어렵다. 그래서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에서 논의되고 있는 'REDD+(산림의 다른 용도 전용을 막는 기업 조림지에 대해서도 탄소배출권을 인정)'에 큰 관심을 갖고 있다. 향후 REDD+가 발효되면 한국 투자자도 조림허가를 받은 사업자와 합작해 탄소배출권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우리는 국유림의 경우 조림허가를 받은 사업자와 투자자에게 배출권의 70%(지역주민 소유 산림은 지역주민에게 70%)를 분배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