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브라질·중국·우크라이나 등에서 기업 디폴트(채무불이행)가 발생하며 불안감에 빠진 일부 투자가들이 신흥국 회사채를 팔고 있다"고 전했다. 시장조사 기관인 EPFR글로벌에 따르면 지난 3개월간 신흥국 회사채투자펀드에서 5억5,600만달러가 유출됐다.
그동안 고수익에 목마른 투자가들이 몰려들면서 달러 등 주요 통화로 발행된 신흥국 회사채 시장 규모는 1조5,000억달러로 지난 2009년과 비교해 2배 이상 늘었다. 이는 미국의 고수익ㆍ고위험 채권 발행 규모를 웃도는 수준이다. JP모건체이스의 신흥국회사채지수에 따르면 이 기간 연간 평균 투자수익률도 11.1%에 달했다. 하지만 달러화 강세와 신흥국 경기둔화 등으로 신흥국 기업들의 채무상환 능력에 의문이 제기되면서 지난해 말부터 회사채 가격이 급락하고 있다.
비록 우크라이나를 둘러싼 지정학적 긴장 완화, 국제유가 안정 등에 힘입어 올 들어 신흥국 채권 수익률도 4.3%로 반등했지만 가격이 다시 하락할 것이라는 우려가 크다. 무엇보다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2006년 이후 처음으로 기준금리를 올릴 경우 글로벌 투자가들이 신흥국 채권에서 발을 뺄 수 있다는 것이 불안요인이다. 이는 달러의 추가 강세를 촉발해 신흥국 기업들의 채무상환 부담을 키우고 디폴트 압력을 가중시키게 된다.
국제금융협회(IIF)에 따르면 신흥국 비금융 부문 기업의 부채는 이들 국가 국내총생산(GDP)의 83%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JP모건의 잰 로이스 수석 투자전략가는 "위험한 것은 신흥국 자체가 아니라 신흥국 기업들의 신용"이라고 설명했다. 이미 올 들어 중국 부동산 개발업체 카이사, 브라질 국영 석유업체 페트로브라스의 하청업체 OAS 등 일부 대기업들이 디폴트를 선언하는 등 이상조짐이 감지되고 있다. JP모건에 따르면 올 1ㆍ4분기 신흥국 회사채의 신용등급 강등 건수는 132건으로 상향 건수 25건을 크게 앞지르면서 최소 5년 만에 최대의 하향 추세를 나타냈다. 또 신흥국 하이일드 회사채의 부도율은 지난해 3.2%에서 올해 5.4%로 뛸 것으로 전망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