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내집마련 "시장 추이 더 지켜봐야"

■'집값 어떻게 되나' 전문가 전망

최근 정부의 부동산 규제완화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주택가격은 하향 안정세를 지속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에 따라 내 집 마련이나 주택매도를 서두르기보다는 시장 추이를 좀더 지켜보는 게 바람직하다는 것이 부동산 전문가들의 공통된 목소리다. 현재 주택시장은 주택투기지역 해제 등 침체된 부동산시장을 살리기 위해 관련 제도를 탄력적으로 운영한다는 정부방침을 긍정적 신호로 받아들이고 있지만 가격 하향세를 반전시킬 말한 호재로 인식하는 데는 미흡하다는 견해가 우세하다. ◇집값 내년 이후에나 바닥 확인할 듯=서울 수도권 아파트 가격의 약보합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규제완화 움직임이 보이자 주택가격이 바닥에 근접했다는 주장이 조심스레 나오고 있다. 김영진 내집마련정보사 사장은 “규제완화가 매수세로 이어질 경우 올해 말 집값이 바닥을 다지고 이후 급매물이 해소되는 가격회복 시기를 맞을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하지만 꺾인 매수세가 쉽게 회복되기는 어렵고 주택공급량이 많아 바닥단계를 확인하기에 이르다는 반론이 아직 대세를 이루고 있다. 이남수 조흥은행 프라이빗뱅킹(PB)부동산팀장은 “실제 일선 중개업소에서 느끼는 주택경기는 바닥이 아직 멀었으며 가격 하락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안홍빈 KTB자산운용 팀장은 “정부의 완화방침은 주택경기 급랭을 막기 위한 일시적인 애드벌룬 효과에 그칠 것”이라며 “집값 바닥은 내년 하반기에나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매도ㆍ매수 당분간 기다리는 게 유리=현재 집값이 바닥이라면 내 집 마련을 위해 당장 매수에 나서야 한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실제 주택거래가 급감하고 가격 보합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측되는 상황에서 서둘러 투자에 나서지 않는 게 유리하다고 조언한다. 이 팀장은 “공급과잉ㆍ경기침체 등 시장 여건을 따져보면 주택청약ㆍ매수는 좀더 미루고 다주택 보유자의 경우 적극적인 매도를 고려해보는 것도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황용천 해밀컨설팅 사장은 “실질적인 거래세율 인하 등 시장 주체가 느낄 만한 움직임이 없는 한 침체는 지속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