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KBS역사스페셜 27일 100회

KBS역사스페셜 27일 100회 조금 더 쉽고 대중적인 역사 다큐멘터리를 선보이려는 목적에서 기획된 KBS1TV의 '역사스페셜'이 27일 100회를 맞는다. 100회 방송분은 '천년전의 벤처, 해상왕 장보고'편. 1,200년전 동남아시아는 물론 멀리 페르시아까지 무역 네트워크를 구축했던 장보고의 성공비결을 살펴보는 프로그램이다. 지난 98년10월 '영상복원 무용총! 고구려가 살아난다'로 첫 발걸음을 뗐던 이 프로그램은 버츄얼 스튜디오 등의 첨단기술을 도입, 시각적 편의를 돕는 한편 새로운 역사적 해석을 시도해 여러 차례 화제를 불러 일으켰다. 지난 해 3월11일 방송됐던 '한국의 폼페이 풍납토성 지하 4m의 비밀'의 경우, 백제 초기수도인 위례성이 풍납토성일 수 있다는 일부 학계의 의견에 신빙성을 더해 줘 이 지역이 문화유적으로 보존돼야 한다는 여론을 조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또 이와 같은 공로를 인정받아 '2000년 한국방송대상' 교양부문 수상작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지난해 1월 방송한 '연속기획 4부작 대고구려' 에서도 광개토대왕의 정복로를 직접 답사, 여러가지 유적들을 새로이 확인함으로써 광개토대왕 당시 고구려의 영역을 규명할 수 있었다. 이는 광개토대왕의 요서 진출에 회의적이었던 중국과 일본의 일부 학자들에게 일침을 가하는 계기가 됐고 한국방송위원회가 선정하는 이 달의 좋은 프로그램 대상을 수상했다. 그러나 지난 해 개천절을 전후해 2부작으로 방영됐던 '비밀의 왕국 고조선'과 '고조선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나'는 학계 일각의 비판에 직면하기도 했다. 비파형 동검의 분포 영역만을 기준으로 고조선의 세력범위를 추정하는 것은 지나치게 성급한 판단이라는 것이 비판의 요지. 제작을 총괄하는 이승원CP는 "그 동안 역사의 대중화라는 측면에서 이 프로그램이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두었다고 생각한다"며 "100회를 기점으로 빛을 보지 못했던 역사 속의 인물과 선조들을 찾아내 그들의 삶과 업적을 재조명하는데 주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희원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