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코스닥 공모가 '거품' 빠진다

코스닥시장 침체로 시장진입을 준비하는 기업들의공모가에도 거품이 빠지고 있다.23일 증권업협회에 따르면 이번주 공모가 예정된 6개 업체들의 본질가치 대비 공모가, 즉 '발행지수'는 평균 95.67%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토목공사 전문업체 삼호개발의 경우 산정된 본질가치가 2천672원인데 비해공모가는 본질가치의 35% 수준인 950원으로 결정됐다. 이같은 공모가 할인현상은 지난해와 비교해 보면 더욱 분명해진다. 코스닥등록 기업을 위한 기업공개(IPO)전문 컨설팅업체 S-IPO는 "지난해 5월 공모기업 13개의 평균 발행지수는 152%였지만 올해 5월 같은 13개 공모기업의 발행지수는 105.1%에 머물렀다"며 "가장 큰 이유는 지난해 5월 평균 코스닥지수가 82.21로활황이었던 반면 올해 5월 지수는 75.89에 머무는 등 시장상황이 나빠졌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증권사 관계자는 "최근 시황이 나빠 신규등록기업들의 주가가 대부분 공모가 이하로 떨어지는 것은 물론 곧바로 시장조성에 나서야 하는 경우도 많다"며 "주간사입장에선 공모가를 높게 책정해 부담을 키울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실제로 지난 11일 거래가 시작된 오브제의 경우 주가하락으로 8일만에 주간사인신영증권이 시장조성에 들어갔으나 여전히 주가가 공모가의 80%수준에 불과하다. 또 지난달 7일 등록한 영진닷컴과 에어로텔레콤 역시 모두 시장조성 과정을 거쳤으며 특히 영진닷컴은 시장조성으로도 주가가 회복되지 않아 자사주매입을 결정하기에 이르렀다. 시장의 눈치를 살펴 현실적으로 공모가를 산출하려는 경향은 8월 공모제도가 개편되면 더욱 심해질 것으로 보인다. 8월부터는 주간사가 다양한 방법으로 기업가치를 평가, 공모가를 자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게 되며 1개월간 유지해야 할 시장조성가격도 공모가의 80%에서 90%로 기준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증권사 관계자는 "공모가 조성에 자율과 더불어 큰 책임이 요구된다"며 "보다 철저한 기업분석과 시장조사 후 엄밀한 공모가 산정이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윤근영 기자[TODAYTOPIC]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