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신흥국 달러통화스와프 개설, IMF 곧 결정

韓·멕시코·브라질등 단기유동성 해결 도움줄듯

국제통화기금(IMF)이 금융위기로 달러 유동성 부족현상을 겪는 신흥시장 국가들을 돕기 위한 단기유동성 지원창구인 달러통화스와프 창구 개설 여부를 빠르면 29일(현지시간) 집행이사회에서 결정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한국과 멕시코, 브라질 등 신흥시장 국가들도 선진국 중앙은행간의 달러스와프 협정과 유사한 달러 단기유동성 지원체제를 구축할 수 있게 됐다. IMF는 오는 31일 집행이사회를 열어 달러 통화스와프 창구 개설 여부를 논의할 예정이었으나 이를 앞당겨 29일 오전에 하기로 했다고 28일(현지시간) 밝혔다. 빌 머레이 IMF 대변인은 AFP 통신에 이같이 밝히고 다만 "달러 통화스와프창구 운영은 IMF가 기존에 보유하고 있는 자금으로 충당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새로운 자금을 조달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전했다. IMF의 또 다른 고위관계자는 "이번 달러 통화스와프 창구는 기존에 알려진 대로 특정국가를 염두에 두고 추진하는 것이 아니며 대신 경제여건이나 경제정책이 건실한 국가가 우선 대상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달러 통화스와프 창구는 기존의 IMF 구제금융과 매우 큰 차이가 난다. 구제금융은 국제수지와 재정, 금융부문, 그리고 거시경제에 구조적인 문제가 있는 국가들을 대상으로 이뤄지지만 달러 통화스와프는 단기적인 유동성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려고 달러자금을 융통해주는 것이다. IMF의 구제금융은 2~3년에 걸친 장기지만 달러 통화스와프 창구는 단기적인 자금융통이다. 또 구제금융은 정책조정 등과 엄격한 요구조건이 뒤따르지만 달러 통화스와프는 이와는 달리 특별한 조건이 붙지 않는다. 이와 관련, 존 립스키 IMF 부총재는 이날 뉴욕에서 열린 증권금융시장협회 연설에서 "IMF가 국제금융위기와 선진국의 급격한 성장둔화로 어려움에 직면한 신흥시장국가들을 돕는 적극적인 역할을 하려고 신속하게 움직이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IMF는 국제금융위기가 계속돼 현재 보유하고 있는 유동성만으로 부족하면 풍부한 외환을 보유하고 있는 중국과 중동지역 걸프국가들에 도움을 요청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