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우크라 여파… 러 1분기 GDP 0.8%

서방 제재로 자본투자 4.8% 급감

우크라이나 사태의 여파로 러시아의 올 1·4분기 경제성장률(GDP)이 0.8%에 머문 것으로 나타났다.


알렉세이 울류카예프 러시아 경제개발장관은 16일(이하 현지시간) 의회에 출석해 이같이 밝혔다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 이 같은 성장률은 우크라이나 사태에 따른 서방의 제재 등을 반영해 최근 대폭 낮춰진 시장 예상치(0.9%)에도 못 미친다.

관련기사



러시아 경제 성장의 발목을 잡은 것은 전년동기 대비 4.8% 급감한 자본투자다. 지난달 우크라이나 크림반도의 러시아 병합으로 미국·유럽연합(EU)의 경제 제재 조치가 현실화된 후 외국인들의 투자자금이 썰물처럼 빠져나갔다. 유엔 보고서에 따르면 올 1·4분기 러시아를 빠져나간 외국인 자금은 500억달러에 이른다. 울류카예프 장관은 서구권의 경제압박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870억달러 규모의 국부펀드 투자 대상에서 서구권 자산을 줄이고 국내 인프라 설비 투자를 늘릴 것을 주문하기도 했다.

문제는 우크라이나 동부지역의 충돌 등을 계기로 서구권의 대러 경제 제재의 강도가 더욱 높아질 수 있다는 점이다. 로게글로벌파트너스의 마이클 갠스키 신흥시장 부문 대표는 "추가 경제 제재가 나온다면 러시아 경제 성장률이 마이너스가 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제이 카니 미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신규 제재를 적극적으로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고 EU 또한 17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리는 미·러·우크라·EU 외무장관회의가 별 성과 없이 끝날 경우 다음주 정상회의를 통해 대러 추가 제재 카드를 꺼내들 가능성이 높다. 블룸버그통신은 익명의 미 당국자 말을 빌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측근들의 해외재산 동결 △에너지 분야 제재 등이 검토되고 있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