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한국사회 못믿겠다”

중·고생 신뢰도 점수 38점

중ㆍ고교생들은 우리 사회에 대한 신뢰도에 평균 38.8점의 낮은 점수를 매겼다. 사회적 차별은 학벌(학력), 빈부, 남녀, 출신지 순으로 심하다고 여기고 있다. ㈔한국사회조사연구소는 지난해 9~12월 전국 467개 초ㆍ중ㆍ고교 학생 2만7,650명을 대상으로 학교생활 등 430여 항목을 설문조사해 분석한 결과 이들은 우리 사회에 대한 신뢰 정도에 평균 38.8점(만점 100점)을 줬다고 23일 밝혔다. 남학생(38.4점)보다 여학생(39.2점), 고교생(37.4점)보다 중학생(40.1점), 실업고생(34.5점)보다 일반고생(38.5점)이 약간 높은 점수를 줬지만 큰 차이는 없었으며 ‘0점’을 부여한 학생도 12.8%에 달했다. ‘믿을 수 없다’는 비율이 높은 존재는 국회의원(80%), 상품광고(73.9%), 대통령(61.6%), 언론(53.6%), 이웃(44%), 선후배(37.1%) 순인 반면 ‘믿을 수 있다’는 비율은 어머니, 아버지, 친구, 형제ㆍ자매, 친척, 학교 선생님 순으로 높았다. 빈부격차에 대해 71%가 “심하다”고 했고 16.7%는 “심하지는 않지만 심하다고 하는 것 같다”고 했으며 3.1%는 “심하지 않다”고 했다. 사회적 차별이 심하다고 여기는 학생이 많은 항목은 ▦학벌(학력) 75.1% ▦빈부 68.2% ▦남녀 35.9% ▦출생지역 34.4% 순으로 나타났다. 살면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좋은 배우자와 행복한 가정을 이루는 것 59.9% ▦하고 싶은 일을 하는 것 45.7% ▦건강하게 사는 것 24.1% ▦즐기면서 사는 것 23.3% ▦돈 많이 버는 것 22.3% ▦가족과 부모를 잘 부양하는 것 7.7% ▦남을 위해 봉사하는 것 3.7% 등이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