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뒤에는 저출산·초고령화 사회, 불평등 문제, 미래세대 삶의 불안정성 등이 우리 사회의 주요 문제가 될 것으로 분석됐다. 정부는 올 하반기부터 과학기술과 정보통신기술(ICT)로 이에 대응할 수 있는 미래전략을 마련할 계획이다.
미래창조과학부 미래준비위원회는 23일 한국과학기술평가원(KISTEP), 한국과학기술원(KAIST) 미래전략연구센터와 함께 '미래 이슈 분석보고서'를 발표하고 10년 뒤에는 △저출산·초고령화 △불평등 △미래세대 삶의 불안정성 △고용불안 △국가 간 환경영향 증대 △사이버 범죄 △에너지·자원고갈 △북한·안보·통일 △기후변화·자연재해 △저성장과 성장전략 전환 등이 10대 이슈가 될 것으로 분석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4월 학계·연구계 전문가와 미래세대인 대학생 등 총 1,477명을 대상으로 인식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네트워크 분석' 기법을 통해 분석한 결과이다.
미래준비위원회는 또 과학기술과 긴밀하게 연관된 이슈를 △제조업의 혁명 △재난위험 △삶의 질을 중시하는 라이프 스타일 △생물 다양성의 위기 △에너지 및 자원고갈 △난치병 극복 △저출산·초고령화 사회 △산업구조의 양극화 △저성장과 성장전략 전환 순으로 꼽았다. 특히 인공지능,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기술 등이 미래 사회의 다양한 이슈와 깊은 관계를 맺을 것으로 내다봤다.
미래부는 이번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올 하반기부터 매년 2~3개의 이슈를 선정, 과학기술과 ICT를 활용해 대응할 수 있는 미래전략을 마련하겠다는 입장이다.
이광형 미래준비위원회 위원장은 "이번 분석은 미래대응전략을 마련하기 위한 사전 단계로 이슈에 대응할 때 과학기술을 함께 고려한 포괄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최종배 미래부 창조경제조정관은 "이번 분석을 범정부적 미래전략을 짜는 데도 사용할 것"이라고 소개했다.
미래부는 아울러 같은 날 열린 제5회 미래성장동력특별위원회에서 △미래성장동력 특허분석결과 △미래성장동력 플래그십 프로젝트 신규과제 선정결과 △미래성장동력 2015년도 하반기 추진계획 등 3개 안건을 심의·확정했다고 밝혔다. 특히 정부는 미래성장동력 13대 분야 핵심기술에 대한 한·미·일·유럽 특허 10만건을 분석한 결과 한국은 '착용형 스마트기기' '실감형 콘텐츠' 분야에서 기술경쟁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분석됐다고 발표했다. 반면 '맞춤형 웰니스케어' '융복합 소재' 등 2개 분야는 한국의 경쟁력이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