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스팸메일 무단발송시 최고 '형사처벌'

공정위 내년 '노스팸' 확인 의무화 추진

내년부터 통신판매 사업자들이 무단으로 광고 스팸메일을 보낼 경우 과태료와 함께 최고 형사처벌까지 받을 수 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23일 "통신판매업자에 대해 소비자의 광고수신 거부의사 확인을 의무화하는 내용의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이번 임시국회에 상정했다"고 밝혔다. 개정안에 따르면 통신판매 사업자들은 공정위가 운영중인 `노스팸(www.nospam.go.kr)' 사이트에서 소비자의 수신거부 여부를 확인해야 하며 거부의사를 밝힌 소비자에게는 광고메일을 보내지 못한다. 이는 e-메일은 물론 휴대폰이나 팩스를 통한 광고도 마찬가지로 적용되는데, 이를 어길 경우 최고 1천만원의 과태료와 시정명령을 받게 되고 상습적인 법위반 업체에 대해서는 형사처벌도 가능하다. 노스팸 사이트는 소비자가 광고 수신거부 의사를 등록할 수 있도록 공정위가 지난 2002년부터 운영하고 있는데, 현재는 사업자들이 이를 무시하더라도 명문화된 처벌조항이 없는 상태다. 그러나 내년부터 개정법이 시행되면 무거운 처벌을 받을 수 있어 현재 약 13만5천명에 그치고 있는 사이트 이용자가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공정위는 당초 올해부터 개정법을 시행할 계획이었으나 업체들의 준비기간이 필요하다는 지적에 따라 1년간의 유예기간을 줄 방침이다. 또 고의로 광고 발신인의 신분을 속이는 경우와 해외로부터 유입되는 음란물 등은 기술적인 문제로 추적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지적에 따라 시행과정에서 보완책을마련키로 했다. 공정위 관계자는 "이번 임시국회에서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하면 내년 상반기부터 시행될 것"이라며 "아울러 노스팸 사이트의 시스템을 업그레이드해서 많은 소비자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법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관계기관과의 협조를 통해 불법 스팸메일을 보내는 사업자에 대한 추적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이승관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