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야당 문희상 체제 초반부터 불협화음

文 모바일 투표제 옹호하자

박지원 "발언 조심하라" 일침

중도파는 비대위 구성 싸고 맹공

새정치민주연합의 문희상 비상대책위원장과 박지원 비상대책위원이 23일 모바일투표를 놓고 정면 충돌했다. 또 김영환·조경태 의원 등 중도 성향 의원들이 비대위를 향해 정면으로 비판하는 등 문희상 비대위원장 체제가 초반부터 혼란을 겪고 있다.

박 위원은 이날 문 위원장에게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문희상 비대위원장에게 공·사석에서 발언을 조심하라 말씀드렸다. (모바일투표는) 문제가 없는 게 아니라 가장 큰 문제"라고 문 위원장의 발언을 문제 삼았다. 이어 "특히 비대위에서 논의도 안 됐고 출범하자마자 이런 시비가 시작되면 안 된다"고 덧붙였다. 문 위원장이 전날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모바일투표가 문제 있는 게 아니다"라며 "개표 확인작업이 까다로운 점 등을 보완한다면 그처럼 간단명료한 게 어디 있느냐"고 모바일투표제를 옹호한 것을 문제 삼은 것이다. 결국 문 위원장이 전당대회 규칙 개정에서 모바일투표 재도입 가능성을 시사하자 당권주자인 박 위원이 급브레이크를 거는 등 신경전이 벌어진 셈이다


박 위원은 또 기자들과 만나 "우리 당은 이미 모바일투표제에 대해 반대를 했고 폐기를 한 것"이라며 "비대위가 이제 출범했는데 하루 만에 전당대회를 앞두고 예민한 문제를 거론하면 비대위가 구실을 하지 못하게 된다"고 경고했다. 모바일투표제는 과거 민주당 시절인 지난 2011년 당 대표 경선 과정에서 처음 도입된 후 "특정 계파에 유리하다"는 잡음이 지속돼 2013년 김한길 대표 체제에서 사실상 폐기된 경선 방식이다. 특히 2012년 민주통합당 당 대표 경선에서 김한길 후보는 이해찬 후보에게 당원투표에서 크게 이기고도 '모바일투표'에서 밀려 패배해 "당원들의 뜻과 다른 결과"라고 비판한 바 있다.

관련기사



중도 성향 의원들은 비대위원들이 논란을 벌이는 사이 비대위 구성 문제에 대해 맹공을 퍼부었다.

조 의원은 이날 한 라디오 방송에서 "우리 당이 일소해야 할 가장 첫번째 과제가 패권화돼 있는 친노 강경파들을 몰아내는 것이다. 지금 비대위는 친노 강경세력의 들러리에 불과하다"고 전날에 이어 또다시 비대위를 비판했다. 조 의원은 "문재인·정세균·박지원 의원은 묘하게도 특정 계파의 연합체로 분류될 수 있다"며 "각 계파의 수장이 아니라 특정 계파로 이뤄진 아주 비상식적인 위원회 구성이라고 본다"고 비대위를 깎아내렸다.

김 의원도 이날 한 라디오 방송에 나와 "말 없는 다수 의원, 중도 온건파가 완전히 배제됐다. 아프리카 부족국가도 아니고 계파의 수장들을 앉혀놓고 계파정치를 타파하겠다고 하는 건 자가당착"이라며 "문희상 체제에서 문재인 의원이 전면 부상하는 문-문 투톱 체제, 소위 쌍문동 체제가 만들어진 것"이라고 친노에 대한 거부감을 드러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