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 눈/10월 15일] 중소기업 전용 홈쇼핑의 득과 실

그동안 잠잠하던 TV홈쇼핑 업계가 갑자기 분주해졌다. 최근 중소기업중앙회를 중심으로 중소기업 전용 홈쇼핑 신설과 관련한 논의가 한창이기 때문이다. 업계에서는 중소기업 전용 홈쇼핑 신설이 이명박 대통령의 대선 공약인 만큼 방송통신위원회가 홈쇼핑 추가승인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중소기업 업계는 홈쇼핑들의 수수료가 과도하고 중소기업 제품 판매비중이 미흡하다며 전용 채널 도입을 강력하게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중소기업 전용 홈쇼핑 신설이 도리어 중소기업 제품을 홈쇼핑에서 퇴출시키는 양날의 칼로 작용할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 옛 방송위는 지난 2007년부터 홈쇼핑에 중소기업 제품 유통 활성화를 위한 7가지 정책권고 사항을 제시하고 이를 점검해 재승인 심사에 반영하고 있다. 하지만 중소기업 전용 홈쇼핑 채널이 생길 경우 기존 홈쇼핑들에 이전처럼 중소기업 제품 편성 확대를 강제할 근거가 사라지게 된다. 홈쇼핑 업계의 한 관계자는 "채널 신설로 중소기업 관련 규제의 근거가 없어질 경우 홈쇼핑들은 대기업 및 유명 브랜드 제품의 편성을 늘릴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중소기업 전용 홈쇼핑이 롯데에 인수된 우리홈쇼핑의 전철을 밟지 않으리라는 보장도 없다. 중소기업 육성을 목적으로 설립된 우리홈쇼핑은 2006년 방송위의 승인 아래 롯데쇼핑에 인수돼 롯데홈쇼핑으로 변신했다. 실제로 업계에서는 정체된 홈쇼핑 시장에서 신규 홈쇼핑의 경영악화가 지속될 경우 대기업의 인수합병(M&A) 대상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팽배하다. 홈쇼핑 업계가 신규 채널 도입에 반발하는 가장 큰 이유도 여기에 있다. 기존 홈쇼핑들 역시 이번 논란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30%대 중반에 달하는 높은 수수료와 우월적 지위를 이용한 불공정거래 행위로 중소기업들의 불만을 자초한 책임이 크기 때문이다. 홈쇼핑 업계는 부랴부랴 협력업체와의 상생위원회 구성 등 중소기업 지원책 마련에 나섰지만 정작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수수료 조정 문제는 논의조차 하지 않고 있다. 결국 홈쇼핑 업계와 중소기업들이 서로 윈윈 할 수 있는 해결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굳이 효과가 불분명한 신규 채널을 도입하기보다는 기존 홈쇼핑들을 대상으로 중소기업에 대한 수수료 감면 및 불공정거래 근절 등 실질적 지원책을 마련하는 방안이 바람직해 보인다.

관련기사



이재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