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美내부도 한미FTA 놓고 파열음… "우리 탓" 잇단 자성론 등장

로즈 씨티그룹 수석고문 "실패땐 참담한 결과될것"… WP도 사설서 책임론 제기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이 사실상 재협상 수순을 밟고 있는 가운데 미국의 무리한 요구로한미 FTA 타결이 실패할 경우 빚어질 한미 동맹관계의 손상을 우려하고 FTA 지연에 대해 미국에 책임이 있음을 인정하는 자성론이 미국에서 잇따라 등장하고 있다. 윌리엄 로즈 씨티그룹 수석고문은 18일(현지시간) 뉴욕 맨해튼에서 코리아소사이어티가 G20 정상회의 성과와 한미 FTA를 주제로 개최한 좌담회에 참석, "미국 행정부와 정치권이 당장 한미 FTA를 종결하지 못하면 미국의 심각한 실수일 뿐 아니라 참담한 결과가 될 것"이라며 "서울에서 기회를 놓쳤지만 2~3주 내에 반드시 타결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FTA가 한국에 더 이익이라는 견해가 있지만 한국은 경제뿐 아니라 전략적으로 중요한 미국의 동맹국"이라고 강조했다. 씨티그룹 수석 부회장을 지낸 대표적 친한파 경제인으로 꼽히는 로즈의 발언은 재협상이 실패할 경우 양국관계에 미칠 파장을 우려하고 미국 입장에서 눈앞의 경제적 이익을 관철하기 위해 무리한 요구를 하는 대신 한미 동맹의 특수성을 고려한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날 워싱턴포스트(WP)는 사설을 통해 이례적으로 한미 FTA가 지연되고 있는 데 대해 버락 오바마 대통령과 민주당의 책임론을 제기해 눈길을 끌었다. WP는 지난 2007년 조지 W 부시 행정부 시절 체결된 한미 FTA에 대해 미국의 업계 대부분이 지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미 의회에서 민주당이 한미 FTA로 인해 일자리가 없어질 수 있다며 협정의 비준을 막았고 오바마 역시 2008년 대선 후보시절 "심각한 결함을 지닌 협정"이라며 이를 거부하면서 올해 6월 내용의 보완을 통해 한미 FTA를 이행하겠다고 선언할 때까지 우유부단한 태도를 보여왔다고 지적했다. 또 자동차 문제와 관련, 미 업계가 정말로 걱정하는 것은 한국시장에 대한 접근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미국시장에 한국산 자동차의 접근이 쉬워지는 것일지도 모른다고 꼬집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