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지방 1억 이하 아파트 5년새 절반 줄어

수도권을 제외한 지방에서 1억원 이하 아파트의 가구 수가 지난 2008년 이후 5년 만에 절반 가까이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그동안 지역 내 공급물량이 끊기면서 매물부족 현상이 나타난데다 지역별로 개발호재까지 더해지며 매매가 상승이 이어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부동산써브는 6월 2주차 시세를 기준으로 올해 지방의 매매가 1억원 이하 아파트의 가구 수는 68만6,427가구로 2008년 128만7,048가구보다 47% 줄었다고 19일 밝혔다.


특히 부산ㆍ울산ㆍ대전ㆍ경남 등의 지역에서는 2008년에 비해 1억원 이하 아파트 가구 수가 절반 이상 크게 줄었다.

관련기사



지역별로 살펴보면 부산이 2008년 16만2,252가구에서 2013년 3만5,826가구로 12만6,426가구가 줄었다. 부산의 경우 센텀시티ㆍ마린시티 및 해운대 리조트 사업 등 개발호재가 잇따랐고 2010~2011년 청약불패신화를 이어가면서 매매시장의 시세가 상승했다.

경남은 14만9,349가구에서 6만5,372가구로 8만3,977가구가 감소했다. 마산ㆍ진해ㆍ창원 통합과 함께 거가대교 개통 등 호재가 맞물려 매매가 상승폭이 컸다.

이 밖에 세종시 개발 및 과학벨트지정 등의 호재로 매매가가 오른 대전이 7만1,249가구에서 2만6,905가구로 4만4,344가구가 줄었다.

김미선 부동산써브 부동산연구팀 선임연구원은 "지방의 경우 전세난으로 세입자들이 소형 저가 아파트 매매로 선회하는 경우가 많다"며 "혁신도시 및 기업도시 등 국가균형발전 정책에 따른 개발 호재가 남아 있어 1억원 이하 아파트 가구 수 감소는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신희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