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슈퍼컴퓨터와 천리안 위성이 없었다면?

태풍예측경로 오차 줄고, 위성자료관측 시간간격도 단축

슈퍼컴퓨터와 천리안 기상위성 등 첨단장비의 활용이 태풍 메아리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고 이후 경로를 예측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기상청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가동한 기상용 슈퍼컴퓨터 3호기에서 계산한 태풍의 ‘5일 예측경로’의 오차가 기존 2호기의 ‘3일 예측경로’ 오차보다 작았다. 올해부터 위성과 항공기 등과 같은 첨단장비로 관측한 초기자료를 입력해 예측한 3호기의 5일 태풍 경로의 평균오차는 지금까지 약 440km로 분석됐다. 반면 2005년부터 2010년까지 사용한 기존 2호기의 3일 태풍 예측경로의 평균오차는 약 480km였다. 태풍 경로의 예측 기간을 이틀이나 늘렸음에도 오차가 줄어든 셈이다. 지난 4월 도입된 천리안 위성도 8분 간격으로 태풍의 현재 위치와 강도, 주변 구름대의 세력에 관한 정보를 관측, 과거 외국의 기상 위성자료를 30분 간격으로 수신할 때보다 시간을 줄였다. 기상청 관계자는 “앞으로도 첨단장비를 효과적으로 활용해 태풍이나 집중호우와 비상상황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는 데 최선의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