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김영철 前 총리실 사무차장 자살

최진실씨 이어 또 '안타까운 죽음'<br>수뢰의혹 수사 부담느낀듯… 검찰 "소환통보도 안했는데"


금품수수 의혹을 받아 이달 초 물러난 김영철(61ㆍ사진) 전 국무총리실 사무차장(차관급)이 10일 서울 강남구 일원동 자택에서 목을 매 숨진 채 발견됐다. 경찰은 이날 오전8시께 김 전 차장 딸(31)의 신고를 받고 현장에 출동해 화장실에서 목을 맨 김 차장의 시신을 확인했다. 경찰은 안방 서랍장 위에서 발견된 A4용지 1장짜리 유서에 “여보 사랑해. 미안해. 힘들어서 먼저 갑니다” 등의 내용이 들어있는 점으로 미뤄 최근 금품수수 의혹 사건으로 고민하다 스스로 목숨을 끊은 것으로 보고 사망 경위 등을 조사하고 있다. 김 전 차장은 지난 2002~2005년 중부발전 사장 재직시절 에너지 전문기업인 케너텍에서 수천만원을 받았다는 의혹이 제기되자 이달 2일 사의를 표명했으며 3일 사표가 수리됐다. 검찰은 강원랜드 수사과정에서 뇌물수수 의혹을 포착하고 김 전 차장에 대한 수사를 벌여왔다. 이와 관련, 검찰의 한 관계자는 “김 전 차장의 혐의를 살펴보고 있었지만 직접 접촉하거나 소환을 통보한 사실은 없다”며 “사실관계가 구체화되지 않은 상황에서 이런 일이 일어나 안타깝다”고 말했다. 김영철 전 사무차장 자살 소식에 국무총리실은 이날 침통한 분위기로 빠져들었다. 평소 묵묵한 성격에 큰 잡음 없이 정무와 살림살이를 처리해 총리실 내에서도 비교적 신망이 높았던 점에서 총리실 직원들은 그의 죽음을 더욱 안타까워했다. 이날 ‘과장급 공무원과의 대화’ 행사 참석차 대전을 방문한 한승수 총리도 사고를 보고 받고 할 말을 잊은 채 침통함을 감추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전 사무차장의 자살은 최근 위상을 새롭게 정비하면서 제 목소리를 내기 시작한 총리실에도 적지 않은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김 전 사무차장이 한 총리를 그림자처럼 보좌해온 ‘한승수맨’이었다는 점에서 총리실 위상에 적지 않은 충격을 줄 수 있을 것이라는 우려도 있다. 김 전 사무차장은 지난 1947년 경남 마산에서 출생해 부산고와 서울대 농화학과, 대학원을 졸업한 뒤 1972년 행정고시에 합격하면서 공직에 입문했다. 특히 상공부, 대통령 비서실 등을 거치며 한 총리를 가깝게 보좌해왔다. 2005년 중부발전 사장을 끝으로 공직생활을 마무리했으나 한 총리와의 오랜 인연으로 다시 공직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김 전 사무차장은 최근 불거진 자신의 혐의에 대해 “문제될 게 없었다”며 주변에 결백을 강조해왔고, 지난 2일 사표를 제출할 당시에도 “조직과 국가에 누를 끼치지 않겠다”며 고심 끝에 결정을 내려 주변을 안타깝게 했다. 총리실의 한 관계자는 “마음이 여리신 분이 자살을 택한 것 같아 안타까움을 금할 수 없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