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열도가 뒤숭숭하다. 물가 때문이다. 지난 25일 일본 총무성은 6월 소비자물가가 1년 전에 비해 1.9% 상승했다고 발표했다. 1992년 이후 15년 만에 최고 기록이다. 더구나 7월에는 전기요금 인상 등이 예상돼 2%를 넘어설 것이 확실시되고 있다.
일본 언론들은 물가 불안과 함께 5년 만의 첫 수출 감소를 언급하며 “일본 경제가 침체에 접어들었다”며 위기감을 키웠다. 10년 넘게 1%대로 물가를 잡으며 ‘물가 우등생’을 자부했지만 국제 유가 등 원자재가 상승에는 버틸 재간이 없었다는 자조 섞인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오타 히로코 경제재정담당상은 “높은 물가 압력은 명백한 경기 하강 위험”이라며“물가 압력이 상승이 소비와 경제에 미칠 영향을 예의 주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우리 문제로 고개를 돌려보자. 우리나라도 물가 불안이 공포로 바뀌고 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5.6%로 외환위기 이후 10년 만에 최고로 치솟았다. 더구나 하반기에는 가스ㆍ전기 등 공공요금 인상이 줄줄이 대기하고 있다. 성장률도 꺾여 불황이 깊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높다.
지금 한일 두나라는 똑같은 위기를 맞고 있다. 그렇지만 차이점도 뚜렷해졌다. 일본이 우리나라보다 석유 등 원자재를 훨씬 사들이는 재주가 있는 것도 아닐 텐데 일본의 물가상승률은 우리의 3분의1에 불과하다.
일본은 허리띠를 조이고 또 조였다. 일본은 1980년대 석유파동을 겪으면서 산업 구조 전반을 에너지 절약형을 뜯어 고쳤다. 일본 기업의 에너지 효율은 세계 최고다. 일본인들의 근검 절약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우리는 어떤가. 물가 때문에 못살겠다고 하면서 여전히 흥청망청하고 있다. 휘발유 값이 2,000원까지 뛰었지만 교통체증은 여전하다. 상반기 전기 사용량도 5.6% 늘었다. 산업 전반은 여전히 에너지 낭비형이다. 외환위기 직후 절약 열풍이 불기도 했지만 그때 뿐이었다. 거리에는 일회용품이 넘쳐 난다.
저유가 시대로 돌아간다면 물가 걱정은 크게 줄어들 것이다. 하지만 그런 기대는 일찌감치 버리는 게 좋다. 최근 들어 유가가 안정세를 보이고 있지만 대다수 전문가들은 고유가 시대는 이제 운명이라고 말한다. 일본은 30년 전 1, 2차 오일쇼크를 극복하면서 배운 경험을 오늘 되살리는 데 비해 한국은 아직 그렇지 못한 느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