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60대 이상 무료 치매 진단 늘린다

복지부 올 4만명에 16만원 상당 검사비 지원키로


급속한 고령화로 노인 인구가 늘어나면서 치매 환자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보건복지부는 25일 치매 조기 진단과 치료를 권고하고 나섰다. 복지부에 따르면 2011년 현재 65세 이상 노인 535만7,000명 중 치매환자는 49만5,000명으로 유병률이 8.9%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지금 추세대로라면 오는 2030년에는 노인 1,181만명 중 113만명(9.6%), 2050년에는 노인 1,615만명 중 213만명(13.2%)이 치매에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가파른 환자 수 증가에 따라 치매 관련 의료비 지출도 지난 2002년 561억원에서 지난해 6,211억원으로 7년 새 무려 11배나 늘었다. 통상 치매는 중증으로 진행할수록 의료비 및 부대비용이 눈덩이처럼 불어나 중증 환자의 경우 증상이 가벼울 때보다 9배나 더 든다. 따라서 치매를 조기에 발견해 치료하는 것이 환자와 가족의 고통을 덜어주고 사회경제적 부담도 줄일 수 있게 된다. 치매를 일찍 발견해 치료할수록 증상의 심각도가 완화되고 독립적 생활능력 저하에 따른 요양시설 입소 위험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지만 적극적으로 치매를 진단받거나 치료에 임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복지부는 2009년 치매 추정환자 44만5,000명 중에 48%인 21만5,000명 정도만 진료를 받은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60대 이상 고령자를 대상으로 무료 치매 진단을 확대해 올해는 4만명에게 무료 진단검사 비용을 지원한다. 60세 이상의 경우 보건소에서 간단한 치매선별검사를 통해 위험 여부를 확인받아 보건소와 연계된 의료기관에서 약 16만원의 비용이 드는 치매진단검사를 무료로 받을 수 있다. 복지부는 또한 진단을 받고 보건소에 등록한 환자에게는 지속적인 치료를 위해 월 3만원의 치료비도 지원하고 있다. 한편 이날 진수희 복지부 장관은 치매예방관리사업을 수행하는 보건소와 치매문제로 어려움을 겪는 가정을 방문해 치매환자와 가족을 격려하고 애로사항을 청취했다. 진 장관은 이 자리에서 "치매는 두려운 질병이고 가정과 사회에 큰 부담이 되는 만큼 조기에 발견해 적절하게 관리되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김광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