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포철·동국제강 한보철강 공동인수 의미

◎“부채 비껴가기” 성사엔 난관첩첩/6조대빚 고스란히 국민전가/종업원·소액주주 피해불보듯/“현대자극용 정부 무리수” 분석도포항제철과 동국제강이 한보철강의 자산만을 공동인수하겠다는 의사를 밝힘에 따라 지지부진하던 한보 제3자 인수가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다. 이들 기업이 한보 공동인수에 성공할 경우 기아사태로 궁지에 몰린 정부와 은행권은 한보라는 막중한 짐 하나를 홀가분하게 덜게 된다. 그러나 채권금융기관들의 손해가 명약관화한데다 법원이 승인하지 않을 가능성도 있어 실제 성사까지는 숱한 난관이 예상된다. 한보철강에 대한 자산실사결과 부채가 자산보다 많은 것으로 조사됐기 때문에 이 방식이 성사될 경우 「빚잔치」가 될 가능성이 높아 결국은 국민부담으로 귀결되게 된다. 한보철강 소액주주의 경우 직접적인 피해를 입게 되고 종업원들도 생계가 불명확해져 진통이 불가피다. 따라서 현재로선 성사가능성이 그리 높지 않다. 포철과 동국제강의 입장은 우선 『6조6천억원에 이르는 한보의 막대한 부채를 떠안지 않겠다』는 것이다. 포철은 올해초 삼미특수강의 봉강 및 강관사업을 인수할 때도 자산만을 인수하는 형식을 취했다. 입찰대상이 법인이 아닌 자산으로 확정될 경우 포철과 동국제강은 부채상환 및 이에 따른 이자비용 등에 신경을 쓸 필요가 없는 것은 물론 영업권조차 인정할 필요가 없다. 업계 일각에서는 포철­동국제강의 한보 인수추진에 의혹의 눈길을 보내고 있다. 『정부가 한보사태를 조기에 수습하기 위해 포철을 동원해 무리수를 쓰는 것 아니냐』는 반응이 나오고 있다. 무대에 올라오지 않으려는 현대그룹을 자극하기 위해 포철을 앞세워 허장성세를 보인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현대측은 그러나 고로방식의 제철업 추진방침에 변함이 없고 더욱이 기아사태 때문에 한보철강 인수에 신경 쓸 겨를이 없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포철과 동국제강이 29일 입찰에서 입찰조건 변경을 요구하게 되면 채권은행단은 협의를 통해 입장을 정리하는 한편 법원의 허가를 얻어 새로운 방식의 입찰을 실시하게 된다. 하지만 법원이 이같은 처리방식에 동의할지는 미지수다. 재산보전처분이 내려진 기업을 자산만 떼어내 매각한 사례가 전무하기 때문이다. 기업들은 포철의 갑작스러운 인수의사 표명의 배경에 정부가 개입했다고 확신하고 있다. 포철은 그동안 『한보를 인수했다가는 우리까지 부실화된다』며 인수에는 강력한 반대입장을 밝혀왔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동국제강은 정부나 채권은행단과 접촉하고 있다는 얘기를 들었지만 포철이 하루아침에 입장을 바꿀 줄은 전혀 예상치 못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자산인수 방식의 매각이 추진될 경우 이는 수조원에 이르는 차액을 국민의 부담으로 돌리겠다는 것에 다름아니다』며 우려를 표시했다.<한상복 기자> ◎자산인수란/주식제외 설비등 자산만 인수/종업원 선별 채용도 가능해져 한보철강 공동인수에 나선 포철과 동국제강이 지분이 아닌 자산인수방식을 택하겠다고 발표, 이 방식이 무엇이고 한보철강의 주주들은 어떻게 되는지 등에 대해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기업인수의 방법은 ▲대주주 지분을 인수하는 방식과 ▲자산만을 사는 방법 ▲모든 지분과 자산을 흡수해 합병하는 방법등 세가지가 있다. 자산양수방식은 법인승계절차가 필요치 않은등 사는 입장에서는 지분인수에 비해 훨씬 간편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 종업원들을 선별채용할 수 있어 경영정상화에도 도움이 된다. 반면 자산을 매각한 회사의 주주들은 남은 문제가 많다. 이들은 자산양도후 주주총회를 열어 회사정리절차를 밟아 해산을 하는 길과 매각대금을 이용, 새로운 사업을 하는 길을 선택해야 한다. 특히 법정관리에 있는 기업의 경우 법원의 인가절차를 밟아야 한다. 한보철강(당진제철소)의 경우 자산실사 결과 부채가 자산보다 많은 것으로 나와 매각대금의 일부가 주주에게 돌아갈 가능성은 거의 없는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청산가능성이 높다. 다만 당진제철소 외에 남은 자산이 있기 때문에 이를 활용해 사업을 계속 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청산방식을 택할 경우 소액주주들의 반발이 거셀 것이 분명해 대주주 역할을 하는 은행들이 이들의 부담을 떠안게 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은행들은 이 부분을 감안, 내정가를 정할 가능성이 높고 포철과 동국제강은 이를 인정치 않을 것이므로 실제 인수까지는 상당한 기간과 정부를 비롯한 제3자의 중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김준수 기자>

관련기사



김준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