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中, 상장 국유기업 민영화한다

증권감독委, 정부 보유지분 매각 공식허용<BR>외국자본 참여 활발해져 증시 재평가 기대<BR>주가부담 우려 매각 대상은 구체언급 안해

중국 정부가 보유중인 상장기업의 지분을 자유롭게 매각할 수 있게 됐다. 이에 따라 국영 기업들이 정부 손아귀에서 벗어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됐으며 중국기업의 활동이 보다 자유로워질 전망이다. 또 민영화 과정에서 외국 자본의 참여가 활발해지면서 중국 증시의 재평가 작업도 이루어질 것으로 분석된다. 중국 증권감독위원회(CSRC)는 2일 웹사이트를 통해 상장 기업들의 정부 보유 지분 매각을 공식 허용하기로 했다며 이것의 효력은 즉시 발효된다고 밝혔다. 중국이 상장 기업의 정부 지분 매각을 허용한 것은 이번 이 처음으로 1999년과 2001년 이를 추진했다가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우려해 포기했었다. 중국 정부가 현재 보유하고 있는 국유기업의 지분은 중국 증권시장 시가 총액인 4,000억 달러의 약 3분의 2에 달한다. 중국 금융당국은 이 가운데 일단 일부 기업에 대해서만 민영화를 시범적으로 허용하고 이를 점차 확대할 계획이다. 이날 발표된 민영화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기업들이 제출한 민영화 계획이 승인되기 위해서는 감독당국과 국유기업 주주 3분의 2 이상이 지분매각을 동의해야 한다. 또 지분을 사들인 투자자들은 지분 인수 후 1년 동안은 지분 매각이 금지되며 2년차 1년 동안에는 최대 5%까지만 지분을 매각할 수 있다. 그러나 중국 금융 당국은 어떤 기업이나 사업 부문이 우선적 매각 대상이 될지, 개별 투자자가 최대 얼마까지 지분을 인수할 수 있는지, 그리고 지분 인수전에 뛰어들기 위해서는 어떤 자격을 갖춰야 하는 지 등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민영화 대상을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은 것은 물량 부담으로 해당 기업 주가가 하락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중국 상장 기업의 민영화가 본격 추진될 경우 외국 투자자들의 인수 경쟁도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중국 경제의 왕성한 활동에 비해 중국 증시는 상당히 저평가 돼 있어 외국 기업들은 기업 가치에 비해 저가로 중국 기업 지분을 인수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한편 이번 조치로 중국 증시의 활력도 기대되고 있다. 그 동안 중국 증시는 정부 보유 기업들에 대한 시장의 신뢰가 떨어지는 데다 유동성이 부족해 활발한 활동을 보이지 못했다. 상하이 종합주가 지수의 경우 올해 들어서만 이미 8%의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