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엔화 대출 고객, 추가 이자부담에 환차손 우려

선물환 계약으로 환리스크 방지등 필요


일본은행(BOJ)이 6년 만에 기준금리를 인상, 제로금리 정책에서 탈피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국내 은행에서 저리로 엔화대출을 받은 고객들의 이자부담과 환차손이 우려되고 있다. 전문가들의 전망대로 일본은행이 이번에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할 경우 엔화대출에 대한 추가 이자 부담이 불가피해진다. 그동안 국내에서 이뤄진 엔화대출은 시중은행 대출금리보다 크게 낮은 2~3%대로 연 5~6%대에 이르는 주택담보대출 금리의 절반 수준에 불과했다. 특히 지난해 말 이후 원ㆍ엔 환율 하락세와 함께 엔화대출이 증가세를 보여왔다. 금융권에 따르면 국민ㆍ신한ㆍ우리ㆍ하나ㆍ기업ㆍ외환 등 6개 은행의 지난 6월 말 현재 엔화대출 규모는 1조942억엔으로 지난해 말의 8,078억엔보다 35.5%가 늘어났다. 엔화대출 역시 3개월 변동금리가 적용돼 일본 중앙은행이 정책금리를 인상하면 대출이자 부담이 늘어나게 된다. 여기에 금리인상으로 인한 엔화가치 상승 가능성이 높아 원ㆍ엔 환율 상승에 따른 환차손도 추가로 부담해야 한다. 따라서 그동안 국내보다 금리가 크게 낮은 엔화를 많이 빌려 쓴 기업들은 이자부담과 엔화 강세로 인한 환차손이라는 이중고에 시달릴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개인사업자나 의사ㆍ약사 등 전문직 종사자들이 엔화대출을 많이 한 것으로 알려져 이들의 대출이자 부담 또한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일본의 금리인상 여파가 국내 엔화대출 기업과 개인사업자들에게 직격탄을 날릴 수도 있다는 얘기다. 한상언 신한은행 PB팀장은 “대출금 조기상환이나 원화대출로 갈아탈지 여부는 대출받은 시점의 환율과 향후 환율 움직임을 고려해 판단해야 한다”며 “혹시 환 헤지 계약이 돼 있지 않다면 지금이라도 선물환 계약을 통해 환리스크를 방지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김정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