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국내 의료진, 비듬균 억제 新물질 개발

김범준·송인성 교수팀

국내 의료진이 비듬균을 억제할 수 있는 새로운 물질 개발에 성공했다. 중앙대학교병원은 피부과 김범준 교수팀과 미국 알칸사대학 송인성 교수팀이 비듬의 원인균인 말라세지아 비듬균 증식을 억제할 수 있는 펩티드 신물질 개발에 성공했다고 22일 밝혔다. 연구팀에 따르면 CA-MA라고 불리는 합성펩티드는 말라세지아 비듬균에 감염된 피부 각질 형성세포의 면역기능을 정상화하고 염증반응을 억제한다. 말라세지아 비듬균은 비듬뿐 아니라 지루피부염, 두피나 몸통에 발생하는 모낭염(일명 뾰루지)의 원인균으로도 알려져 있다. 김 교수는 "CA-MA의 합성을 통해 말라세지아 비듬균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기존의 항진균제와 같은 약제내성을 걱정하지 않아도 되는 물질을 이용해 비듬샴푸나 지루피부염 크림, 모낭염 치료제 등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보건복지부의 연구비 지원으로 이뤄진 이번 연구 결과는 피부과 분야 국제 학술지인 '저널 오브 더 인베스티게이티브 더마톨로지(Journal of the Investigative Dermatology)'에 곧 게재될 예정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