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박흥진의 할리우드통신] 스크린으로 다시 돌아온 제인에어

19세기에 쓰여진 소설 중에서 가장 많이 영화로 만들어진 것이 영국의 여류 샬롯 브론테가 쓴 '제인 에어'(Jane Eyre)다. 무성영화에서부터 시작해 현재 이 곳에서 상영 중인 미아 와시코브스카 주연의 영화까지 모두 20여번이나 영상화 됐다. '제인 에어'는 영화뿐 아니라 TV작품으로도 9번이나 만들어졌고 연극과 오페라와 발레로도 무대에 올려졌다. 고아 출신의 가정교사로 음울한 자신의 고용주 로체스터를 사랑하게 되는 제인으로 나온 배우들은 조운 폰테인, 수잔나 요크 및 샬롯 갱스부르 등이 있다. 로체스터로는 오손 웰스, 조지 C. 스캇, 윌리엄 허트, 티모시 달턴 및 현재 상영 중인 영화의 마이클 화스벤더 등이 나왔다. 비평가들의 호평을 받은 현재 상영작은 잘 만들긴 했으나 기자가 보기엔 너무 차갑고 냉철하고 깔끔해서 원작의 암흑적이고 질풍노도 같은 정열이 제대로 가슴에 와 닿질 않는다. 지금까지 만들어진 '제인 에어' 영화 중 가장 훌륭하고 또 팬들의 사랑을 크게 받고 있는 것이 웰스와 폰테인이 나온 1943년작 흑백판이다. 이 영화는 제인보다 로체스터에게 편중된 경향이 있긴 하지만 무드 있고, 정열이 짙은 안개처럼 깔린 로맨스 명화다. 영화에는 얼마 전 작고한 엘리자베스 테일러가 어렸을 때 고아원 원생으로 나온다. 제인을 독특하게 만드는 것은 그의 내적인 힘이다. 그 힘이 제인의 사랑을 완전하고 정열적인 것으로 만들어 주었다고 본다. 제인은 여류 작가에 의해서만 창조될 수 있는 주인공이다. 제인은 미와 매력의 여자라기 보다 지성과 정열의 여자로 독립적이요, 의지가 강하며 또 창조적이어서 자기를 구속하는 것에 대항할 줄 아는 개성이 강한 여자다. 글이 쓰여진 빅토리아시대를 훨씬 앞서 가는 여권 신장론자라고 해도 되겠다. 제인의 이런 성질의 많은 부분은 섬뜩하고 침울하며 또 거의 폭력적인 정열의 소유자인 로체스터도 소유하고 있다. 같은 성질의 천애 고독자들이 만났으니 둘 간에 숙명적인 사랑이 불 타오를 것은 자명한 일이다. 소설 '제인 에어'는 로맨틱 하면서, 아울러 공포 분위기와 신비감, 초자연적인 신화적 요소를 지닌 동화라고도 하겠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