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과학기술위성 3호 발사 성공

6시간 만에 대전 지상국과 교신<br>적외선 망원경으로 은하 등 관측

과학기술위성 3호를 탑재한 드네프르 로켓이 21일 오후4시10분(한국시간) 러시아 야스니 발사장에서 발사돼 불길을 내뿜으며 하늘로 솟구치고 있다. /사진제공=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국내 최초로 적외선 망원경을 탑재한 과학기술위성 3호가 성공적으로 발사됐다.


미래창조과학부는 21일 오후 4시10분(한국시간) 러시아 야스니 발사장에서 쏘아 올린 과학기술위성 3호가 발사 뒤 로켓에서 정상적으로 분리됐다고 밝혔다.

발사체는 '사일로'라는 특수 지하벙커 문이 열리면서 순식간에 하늘로 솟구쳤고 2분도 채 안 돼 발사 중계 화면 시야에서 사라졌다. 로켓은 예정대로 발사 이후 112초 만에 1단과 2단 로켓이 분리됐고 약 5분30초 뒤에 마지막 상단과 분리됐다.


다른 위성들과 함께 발사된 과학기술 위성 3호는 발사 이후 929초 뒤 발사체에서 분리됐다. 이후 과학기술 위성 3호는 오후5시50분 북극에 있는 노르웨이 스발바르 지상국과 첫 교신을 했고 6시간 만인 오후10시10분 대전에 있는 인공위성연구센터 지상국과도 교신에 성공했다.

관련기사



과학기술위성 3호는 국내 최초로 적외선 카메라를 탑재해 2년간 고도 600㎞ 궤도에서 우리 은하와 지구를 관측하는 임무를 수행한다. 또 한반도 지역의 적외선 영상자료를 찍어 원자력발전소 인근의 해수 온도 분포와 산불 감시, 토양오염, 작황분포, 재난 감시 등 광범위한 분야에 활용된다.

2006년 12월부터 추진해온 과학기술위성 3호 개발 사업에는 총 사업비로 278억3,600만원이 투입됐다. 발사체를 제외한 위성 본체와 탑재체는 모두 국내 기술로 개발됐다.




임지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