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이명박 당선인 신년 기자회견] 교육

"대입 자율 주더라도 본고사 부활 없을것"

차기 정부의 교육정책과 관련, 이명박 대통령 당선인은 “대학에 입시 자율을 주더라도 대학이 스스로 본고사를 치는 일은 없을 것”이라며 새 정부에서 대학 본고사가 부활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이 당선인은 이날 “새 정부는 지나친 사교육비가 들지 않더라도 아이들이 대학에 갈 수 있게 하겠다”며 이런 내용의 교육정책 구상을 밝혔다. 대학 본고사가 부활할 경우 사교육비가 치솟을 수 있다는 일부의 우려에 대해 입시업무가 대학교육협의회로 넘어가더라도 대학별 본고사는 허용하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한 것이다. 그는 또 “대학에 변별력을 주면 수능등급제를 취소하고 내신과 수능을 반영해 굳이 논술고사를 어렵게 할 필요가 없다”며 “새 정부는 수능 과목을 현재 7~9개에서 4개로 줄여 아이들이 수능 고통에서 벗어나고 사교육비가 줄어들 수 있도록 하겠다”고 설명했다. 수월성 교육과 관련해서는 자율형 사립고를 늘려 조기유학 수요를 흡수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 당선인은 “1년에 초ㆍ중ㆍ고생 3만5,000명이 해외유학을 가는데 이는 한국 교육이 돈은 많이 들고 교육수준은 낮기 때문”이라고 진단한 뒤 “자율형 사립고가 생기면 또 다른 과외가 있지 않겠나 생각하지만 (자율형 사립고의) 수요자가 많다”고 말했다. 또 “자율형 사립고 100개를 특히 교육이 취약한 농촌과 중소도시에 만들면 학생들이 들어가는 게 어렵지 않게 된다”며 “정부가 협력해 30%의 정원에 해당하는 학생은 장학금으로 공부하게 해서 형편이 어려운 학생도 교육기회를 갖게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당선인은 특히 “새 정부는 가난의 대를 끊는 것은 교육 기회를 주는 것이라는 원칙적 생각을 갖고 있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이재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