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여객선 침몰 대참사] 출항 지연에도 근무시간 조정안해… 맹골수도서 초보 항해사가 지시

■ 사고당시 조타실에선 …

여객선 세월호의 중요한 침몰원인으로 무리한 항로변경과 운전 미숙 등이 거론되고 있는 가운데 사고 당시 조타실 상황이 수사를 통해 속속 드러나고 있다.

출발 당시 안개로 2시간 가량 출발이 늦어지지 않았다면 사고가 났던 '맹골수도(孟骨水道)' 구간은 베테랑인 1등 항해사가 맡을 구간이지만 선사측이 이를 조정하지 않은 바람에 지금껏 한번도 이 구간을 운항한 경험이 없는 초보 3등 항해사가 맡게 된 것으로 드러났다.

20일 사고원인을 조사중인 검경 합동수사본부에 따르면 세월호가 인천항을 떠난 지 9시간여 만에 전남 진도군 조도면 '맹골수도'를 막 지나 병풍도 북쪽 해상에 이른 시각은 지난 16일 오전 8시 42분께로 운항 경력 13개월째, 입사 5개월이 채 되지 않은 항해사 박모(25·여)씨와 조타수 조모(56)씨가 배를 조종하고 있었다.


평소에도 소용돌이가 발생하는 이 구간은 이날 막 사리(15일)를 지난 데다 썰물 때와 맞물려 물살이 더 거셌다. 물살 거세기로 이름난 맹골수도 항로에서 항해사 박씨는 조타수에게 방향전환을 지시했다. 이 지역은 향해 뱃머리를 오른쪽으로 돌리는 변침점(變針點)이기에 반드시 방향을 전환해야 했다.

관련기사



구속된 조씨는 18일 진술에서 "항해사 지휘에 따라 평소대로 조타키를 돌렸다. 하지만 평소보다 많이 돌아갔다"며 "내가 실수한 부분도 있지만 조타키가 유난히 빨리 돌았다"고 말해 조타키의 성능에 이상이 있을 수도 있었음을 시사했다.

하지만 수사본부는 조타키의 성능 이상보다는 속도를 줄이지 않은 무리한 운행이 사고의 원인이었다고 보고 있다. 실제 세월호는 변침구간에서 평소 협로에서 운항하는 속도와 비교해 더 가속한 것으로 알려졌다. 직선구간에서는 18~20노트, 협로에서는 16~18노트로 운항하게 돼 있지만 이를 지키지 않았다는 의혹이 이는 대목이다.

해운업계 전문가 등에 따르면 속도가 느릴 때보다 빠를 때 조타키가 더 잘돈다. 수사본부도 운항속도를 줄이지 않고 무리한 변침을 한 것이 선박을 침몰시킨 원인으로 파악하고 있다. 따라서 무리하게 변침을 하는 과정에서 거센 물살 저항을 많이 받았고 이에 당황해 조타기를 더 무리하게 조작한 것이라는 것이 해양 전문가들의 추측이다. 진도 해상관제센터(VTS)에서 확인된 항적에도 세월호는 계속해서 우현 변침으로 조작했으나 뜻과는 반대로 좌현으로 계속 쏠렸다.

세월호는 정상적인 방향에서 무려 115도나 틀어졌다. 뱃머리가 오던 방향으로 거꾸로 되돌려진 상태로 사실상 추진동력을 잃었다.

배가 좌현으로 밀리면서 제대로 결박되지 않은 화물, 차량 등이 쏟아지고 세월호는 급속히 기울기 시작했다. 많은 승객들이 배가 기우뚱한 뒤 '쿵'하는 소리가 들었다고 진술하고 있는 부분을 뒷받침할 수 있는 대목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