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2008 대입 서울대와 전면전] 고교·학부모 반응

강북·지방은 '환영'…강남·외고·특목고는 '실망'

정부와 열린우리당이 6일 서울대의 2008학년도입시 기본계획을 저지키로 방침을 정하자 서울 강북ㆍ지방 고교와 특목고ㆍ강남 명문 고교 간에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강북ㆍ지방 고교들은 적극 환영하고 있는 반면 외국어고와 과학고 등 특목고와강남 명문고의 교직원ㆍ학생ㆍ학부모는 다소 실망스러워 하며 좀 더 지켜보자는 입장이다. 특히 서울대의 2008학년도 본고사 부활 반대를 주장하며 철야농성을 벌여왔던 전교조와 참교육을 위한 학부모회는 희색을 나타내고 있다. 참교육을 위한 학부모회 장은숙 사무처장은 "여당과 정부가 늦게나마 서울대의 2008학년도 전형계획안을 철회토록 조치를 취하기로 방침을 정한 것에 대해 적극 환영한다"고 말했다. 장 사무처장은 "서울대의 2008학년도 전형안은 사실상 본고사를 부활시키는 내용인 만큼 철회돼야 하는 것이 많은 학부모들의 바람이었다. 국립대인 서울대는 공교육 정상화를 위해 당초의 입시안을 즉각 백지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교조 산하 참교육연구소 이철호 부소장도 "집권당인 열우당과 정부가 서울대의 입시안이 문제가 있다는 것을 자각한 것에 대해 환영한다. 서울대는 이를 계기로공교육 정상화에 적극 앞장서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그는 "서울대와 주요 사립대가 사실상 본고사를 부활시키기로 한 것은 대입제도에 대한 교육부의 잘못된 인식 때문이다. 따라서 교육부도 2008학년도 입시안 자체를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강북ㆍ지방 고교 관계자와 학부모, 학생들도 이에 동조하고 있다. 강북 A고교 교장은 "서울대와 연세대, 고려대 등이 발표한 기본적인 입시안을 보면 특목고와 서울 강남지역 고교생들에게 유리할 수밖에 없다. 이는 공교육 정상화를 훼손할 수 있는 만큼 서울대 뿐 아니라 주요 사립대들도 입시안을 백지화해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방 고교 1학년생 학부모 김모(44·여·전북 전주시 덕진동)씨는 "집권당과 정부가 서울대의 입시안을 철회토록 조치를 취하기로 한 것에 대해 정말 환영한다"며 의견을 같이 했다. 반면 외국어고와 과학고 등 특목고와 서울 강남지역 고교 관계자와 학부모, 학생들은 이와는 정반대 입장이다. 서울시내 B외고 교감은 "당ㆍ정이 서울대의 입시안을 철회토록 방침을 정한 것은 사실상 대학별 고사를 금지하는 것이다. 이는 대학의 자율성 침해와 수험생의 대학선택권 행사 기회를 원천 봉쇄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특히 개별ㆍ지역 학교 간 격차를 인정하지 않은 채 내신 성적을 획일적으로 반영할 경우 특정집단을 불리하게 할 우려가 크다"고 지적했다. 강남지역 C사립고 교감도 "우선적으로 대입제도 원칙은 대학의 자율적인 학생선발에 있다. 교육부가 현재 고수하고 있는 본고사 금지 등 3불 방침(본고사ㆍ기여입학제ㆍ고교등급제 금지)은 대학의 자율권을 구속하는 조치"라며 강력 비판했다. 강남 D고교 1학년생 학부모인 김모(47·여·서울 강남구 대치동)씨도 "서울대등 주요 대학들이 당초 2008학년도 기본안을 철회한다면 특목고와 강남 명문고 등상대적으로 우수한 학생들이 손해를 보게 된다. 이는 엄연히 존재하고 있는 지역ㆍ학교 간 학력격차를 무시하는 잘못된 발상"이라고 지적했다. 교육당국이 본고사 도입금지 원칙을 끝까지 고수할 수 있을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교장도 있었다. 강남지역 E고교 교장은 "수능의 변별력을 낮춰 대학의 수능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수능성적을 9등급제로 분류하기로 했지만 이는 순진한 발상이다. 교육당국이 '본고사 도입 금지' 원칙을 고수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전준상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