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현장-#부산신항 배후부지

부산도개공-정부, 배후물류부지 단가 이견<BR>이달까지 결정못할땐 지원시설등 조성 차질<BR>임대료 공고도못내 해외물류기업 유치 난항


내년 1월 동북아 허브항만을 겨냥해 처음 문을 여는 부산신항 3개 선석의 배후물류부지에 대한 매입단가를 둘러싸고 개발사업자인 부산도시개발공사와 정부측이 6개월째 팽팽히 줄다리기를 하고 있다. 늦어도 이달말까지 매입단가가 결정되지 못하면 배후물류부지에 들어설 행정지원시설,보안경비시설,컨테이너조작장(CFS) 등 지원시설 건설에 차질을 빚어 반쪽개장에 그칠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 특히 매입단가의 미정으로 임대료를 결정하지 못해 외자유치에도 차질을 빚고 있다. 14일 관계 당국에 따르면 이번에 매입단가가 결정되는 2만평의 배후물류부지 중 1만평에는 해외물류기업을 유치해 임대하고 나머지 1만평에는 개장에 따른 행정지원시설과 냉동창고 등 각종 시설물이 들어설 예정이다. 부산도시개발공사는 “당초 정부의 감정가를 적용하면 지난해 기준으로 평당 최소 90만원선이지만 물류부지 뒤쪽 주거,상업용지 개발 이익 등을 감안해 68만원선으로 낮춰 제시했다”고 밝혔다. 김학곤 도개공 해양개발팀장은 “토지 조성원가는 일정한 규정과 룰이 적용된 재무모델에 의해 정해진 가격으로 흥정의 대상이 아니다”며 “이보다 입지가 나쁜 인근의 녹산공단 경우도 평당 250만원을 호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팀장은 이어 “정부나 부산항만공사가 부지를 매입할 의사가 없으면 최악의 경우 자체 분양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부산항만공사 추연길 부산신항건설 TF팀장은 “해양수산부와 협의해 (단가) 합의안 도출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6월말까지 단가 조정을 끝내고 분양 공고가 이뤄질 것”이라고 밝혔다. 매입 단가 조정이 이처럼 난항을 겪는 것은 앞으로 조성될 북컨테이너터미널의 나머지 35만평의 물류부지 가격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어쨌든 내년초 개장을 위해 물류부지의 임대ㆍ분양 공고를 거쳐 사업자를 선정하고, 각종 시설물 건립 공사에 착수해야 하지만 발목이 묶인 상황이다. 배후물류부지 단가 협상 난항은 해외 물류기업 유치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부산항만공사 마케팅 담당자는 “올들어 일본의 도쿄와 나고야 등지에서 해외물류기업 유치를 위한 설명회를 잇달아 개최, 호평을 받고 있지만 배후물류 부지 임대 공고를 하지 못해 구체적인 계약 체결이 안되고 있다”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