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자동차 미래를 달린다] 내달부터 환경규제 대폭강화

트럭ㆍ버스 지나간 길 매연ㆍ가스 안남는다<br>경유차 배출가스 허용기준 日·'유로3'보다 엄격<br>업체들 연비개선·가스저감장치 개발경쟁 치열<br>"新車가격 인상 불가피… 연비줄어 장기적 이익"

정부는 오는 7월부터 2004 환경규제를 실시, 경유를 사용하는 트럭과 버스에 대한 배출가스 허용기준을 선진국 수준으로 대폭 강화한다. 정부의 환경 규제는 차량 가격 상승의 원인을 제공한다. 하지만 세계적으로 환경보호가 국가 미래를 결정지을 최대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상황에서 상용차ㆍ버스 생산 업체들은 친환경 자동차 개발을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일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세계는 지금 환경 전쟁= 지구는 지금 이산화탄소 발생량 증가로 심각한 온난화 문제에 직면해있다. 배기가스 기준치 강화를 주도하고 있는 환경부는 우리나라의 대기오염 상태가 런던이나 LA, 뉴욕보다 더 심각한 수준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특히 선진국에서는 신기술 표준화와 환경 규제 강화를 후발국 견제를 위한 진입장벽으로 활용하고 있어 이제 환경 문제는 국가 및 기업의 생존과 직결돼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지난 98년 자동차 배기가스에 대한 규제를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이는 배기가스 중 일산화탄소ㆍ탄화수소ㆍ질소산화물ㆍ입자상 물질량과 소음을 규제하는 것으로서 그 규제량을 조금씩 강화하여 서유럽의 배기규제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조치다. 이 같은 정부의 환경규제 강화는 수출주력상품으로 떠오르고 있는 자동차에 대한 선진국의 통상압력에서 벗어날 수 있어 장기적으로는 업계에 이익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달라지는 트럭ㆍ버스 환경규제= 7월1일부터 중대형 트럭 및 버스에 적용되는 환경규제는 디젤차량의 배출가스 허용기준이 선진국 수준으로 대폭 강화됨에 따라 기존 엔진 탑재 차량은 생산, 판매가 불가능해진다. 이는 기존 법규에 비해 30%이상 강화된 것이며, 일본보다 엄격하고 유럽에서 적용되는 ‘유로3’ 와 동일한 기준이다. 특히 유럽이나 일본에 없는 브로바이가스(연소실 안의 혼합가스가 압축시 실린더 벽을 통해 크랭크 축으로 새는 가스)까지 규제한다는 점에서 규제치는 동일하다 하더라도, 세계 최고 수준으로 볼 수 있다는 게 업계의 평가다. 이에 따라 현대자동차, 타타대우상용차 등 국내 트럭ㆍ버스 생산업체들은 배기가스 저감장치 개발 등을 통해 정부의 환경규제의 돌파구를 마련하고 있다. 배기가스 저감장치는 연료가 엔진에 전달되는 경로인 연료분사시스템을 고압ㆍ전자화로 이원화 시켜 연료가 연소된 후 찌꺼기를 최소화한다는 게 특징이다. 연료분사의 고압분사시스템은 연료를 미세화 시키며 전자장치(ECU)를 통해 연료의 양과 분사시기를 최적화 시켜 준다. 이와 같은 연료분사시스템의 이원화 장치는 트럭과 버스의 연비를 개선시키고 배기가스를 줄여 준다는 두 가지 효과가 있다. 현대자동차와 타타대우상용차 등은 오는 7월부터 시판되는 연료분사시스템을 장착한 차량의 가격을 기존차량보다 5%정도 인상할 방침이다. 새로운 시스템이 추가된 만큼 차량 가격 인상은 불가피하다는 것이 업계의 입장이다. 그러나 타타대우상용차의 한 관계자는 “연료분사시스템 장착차량은 가격이 인상된 만큼 연비가 1년에 10%이상 줄어드는 효과가 있어 장기적으로는 고객에게 이익이 될 것”이라고 말한다. 이에 따라 앞으로 상용차 생산업체들간 배기가스와 연비를 최대한 줄일 수 있는 경제적이면서 환경친화형 상용차 개발 경쟁이 뜨겁게 전개될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