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징벌적 등록금제 폐지 찬반 팽팽

KAIST 교수협 학생·교수 설문<br>학생 45% "현행제도 폐지" 44% "개선 모색"

징벌적 등록금제 폐지여부를 놓고 KAIST 학생들의 의견이 팽팽한 것으로 나타났다. 폐지를 주장하는 학생과 현 상태를 유지하면서 개선방향을 모색하자는 의견이 엇비슷한 비율을 보였다. 19일 KAIST 교수협의회에 따르면 학생 1,334명과 교수 4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성적이 일정 수준 이하의 학생에게 학비를 부과하는 차등 등록금 제도에 대해 학생들의 45%가 폐지해야 한다고 답했으며 개선방향 모색은 44%, 대안제시는 8% 등을 나타냈다. 45%의 학생들이 징벌적 등록금제 폐지를 주장하고 있지만 현행 제도를 유지하면서 개선방향을 찾아보거나 대안을 마련해보자는 의견이 52%를 보였다. 교수의 경우 57%는 폐지, 32%는 개선방향 모색을 원한다고 답했다. 영어 강의와 관련해서는 학생들의 53%는 지정과목에 한해서 실시, 34%는 교수에게 일임해야 한다고 답했으며 현행대로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은 13%에 머물렀다. 교수의 경우 52%가 과목 특성에 맞춰 지정과목에 한해 실시해야 한다고 응답했고 38%는 담당교수에 일임해야 한다고 답했으며 현행 제도를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은 10%에 그쳤다. 또 신입생들에게 일률적으로 선택하도록 하고 있는 디자인 과목에 대해서는 교수의 79%, 학생의 66%가 전공분야, 장래희망 등을 고려해 학생 스스로 선택하도록 해야 한다고 답했다. 학생들의 정서함양과 인성교육 강화를 위해서는 교수들의 22%가 자발적인 체육∙학술 및 창작 프로그램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답했고 21%가 창작 관련 과외활동 지원, 16%가 전문적인 심리 카운슬링, 15%가 졸업생 등 선배들과의 멘토 제도 활성화 등을 꼽았다. 같은 질문에 학생들의 26%는 다양한 문화 및 창작관련 프로그램 지원, 22%는 교수와의 만남시간 증대를 위한 제도적 노력, 18%는 졸업생 등 선배들과의 멘토 제도 등을 꼽았다. 한편 이날 오전 위기 사태를 수습하기 위해 구성된 'KAIST 혁신비상위원회'가 첫 회의를 갖고 본격 활동에 돌입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혁신위 위원장으로 경종민 교수협의회 회장이 선출됐으며 매주 월∙수∙금요일 오전7~9시 회의를 열고 학사제도 운영 개편 등 당면한 여러 문제들을 논의하기로 했다. 혁신위는 앞으로 3개월 동안 학부 비상총회에서 통과된 재수강 제한 폐지, 전면 영어강의 방침 개정, 정책결정 과정의 학생 참여 보장, 소통을 위한 위원회 구성 등의 요구사항을 우선 다루게 될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