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의원으로 돌아간 안 전 대표는 정치권 전면에 나서지 않고 '권토중래'를 노려야 한다는 것이 정치권의 중론이다. 대권 경쟁구도가 손학규·김두관 등 거물들이 7·30 패배에 따라 물러나면서 문재인 의원 중심의 친노(親盧·친 노무현)계로 좁혀진 만큼 문 의원의 정적인 안 전 대표가 설 수 있는 자리가 없다는 것이다.
다만 안 전 대표의 경우 독자적 세력으로 대권 후보로 성장한 만큼 아직 '소멸된 카드는 아니다'라고 보는 시각도 적지 않다. 문 의원과 박원순 서울시장, 안희정 충남지사를 제외하면 뚜렷한 대권 주자들이 등장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아울러 친노계의 등장을 우려하는 비노(非盧·비 노무현)계 세력도 상당해 친노와 비노의 사이에서 중간자적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예상도 가능하다. 이와 관련, 황인상 P&C 정책연구원 대표는 "안 전 대표가 5대5 합당 정신을 지나치게 강조해 공천과정에서 권력투쟁이 발생할 수밖에 없었다"며 "새 정치를 하겠다는 구상이 좌초된 만큼 국민과 당의 신뢰를 회복하는 돌파구를 스스로 마련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김 전 대표 역시 당 소속 의원들과의 신뢰를 회복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과제로 떠올랐다. 실제로 7·30재보선 공천과정을 두고 일부 의원들은 "자기 멋대로 공천을 했으니 선거에서 지면 반드시 책임을 물을 것"이라며 벼르기까지 했다. 하지만 그는 당 대표 시절 '김한길계'라는 기반 세력을 확보한데다 '안철수 대표와의 연대를 통해 당의 외연 확장에 기여했다'는 긍정적인 평가도 있어 정치적 재기를 노려볼 수 있다. 윤희웅 민정치컨설팅 여론분석센터장은 "김 전 대표는 박영선 원내대표 체제로 꾸려지는 비상대책위원회가 강경 노선을 구축해 중도파의 반발이 커질 경우 중도파그룹의 구심점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예측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