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벼랑 끝으로 몰리고 있는 중견 건설업계를 되살릴 방법은 무엇일까. 업계의 목소리는 한결같다. 결국 부동산 경기가 살아나야 한다는 것이다.
현재 워크아웃이나 법정관리 중인 상위 100위권 이내 건설사 대부분은 주력이 주택사업이다. 경영난을 겪은 가장 큰 원인 역시 지난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갑자기 몰아닥친 주택경기 침체였다.
중견 건설사들의 경우 대형건설사와 달리 사업 포트폴리오가 취약할 수밖에 없는 구조를 갖고 있다. 해외 수주는 언감생심이고 공공발주 중심의 토목사업 역시 만만치가 않다. 정부의 최저가 낙찰제 확대로 수주에 성공하더라도 남는 게 없다는 하소연이다.
A사 관계자는 "상대적으로 리스크가 적은 재개발ㆍ재건축조차 대형 메이저 브랜드에 밀려 쳐다볼 엄두를 못 낸다"며 "결국 부지매입 등을 통한 자체 사업에 매달릴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업계는 특히 정부의 정책이 지나치게 금융 건전성 확보에만 치우쳐 있다 보니 건설업계를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다고 주장했다. 정부가 부동산 대책을 내놓을 때마다 시장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도 금융을 모든 정책의 우선순위에 두는 정부 정책 탓이라는 게 업계의 불만이다.
부동산 경기가 계속 침체될 경우 단순히 건설업계 부도에만 그치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도 현실화하고 있다.
건설업계에 따르면 중견급 건설사의 협력업체는 보통 200~500개 안팎이다. 본사 임직원 500여명과 협력업체를 고려할 때 한 중견사가 무너지면 최소 2만명 안팎의 실업자가 발생한다. 건설사 규모가 클수록 협력업체의 규모는 더욱 커지며 국민경제에 미치는 영향도 커진다. 부동산중개ㆍ인테리어 등 연관 업종에 미치는 파장까지 고려하면 그 부작용은 만만치 않다. 가계부채 부실 문제 역시 근본적으로는 주택경기가 회복되지 않는 한 어떤 대책도 효과를 거두기 어렵다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B건설 관계자는 "건설경기가 이처럼 바닥을 치게 되면 결국 관계사뿐만 아니라 도배ㆍ이사ㆍ중개업 등을 통해 힘겹게 살아가고 있는 수백만명이 당장 먹고 살 수 있는 길이 사라지게 된다"며 "금융권의 인식전환과 정부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또 다른 건설사 관계자는 "중견 건설사가 살지 못하면 결국 대형 건설사를 중심으로 비경쟁 체제가 형성되면서 건설업계는 장기적으로 더 큰 문제를 낳게 될 것"이라며 "옥석 가리기를 통해 긍정적인 프로젝트에는 적극지원을 통해 중견 건설사를 키워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