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AP보도 사실로…정부 신뢰성 치명타

외교부, 직원신원 파악후에도 억지주장…대대적 인책 불가피

AP통신이 지난 3일 외교통상부 공보관실 사무관에게 김선일씨 피랍 여부를 확인한 것으로 25일 밝혀짐으로써 김씨 피살사건은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됐다. 신봉길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오후 브리핑에서 “감사원에 자료를 넘겨서 객관적인 조사를 통해 발표되기를 원했는데 이런 사태가 발생해서 유감스럽다”며 “AP통신측이 전화를 받은 외교부 직원 이름을 알고 있지만 보도하지 않겠다고 해 우리가 밝히게 됐다”고 말했다. 신 대변인은 “이 같은 사실은 오늘(25일) 오전에 확인했다”고 덧붙였다. ◇외교부 신뢰성 치명타 이날 외교부 직원과 AP통신측의 통화사실이 확인됨에 따라 AP통신과 진실 공방을 벌인 외교부는 그 신뢰성에 국내외적으로 치명적 타격을 입게 됐다. 전날인 24일 기자회견을 통해 AP통신 보도를 강력 비판했던 신 대변인은 이날 오전까지만 해도 “확인통화 관련자료를 감사원에 제출했고 성실히 협조하겠다”면서도 “AP측이 피랍문제 해결에 결정적 자료인 비디오테이프도 외교부에 알리지 않으면서 무엇을 어떻게 확인했는지를 답해야 한다”고 AP측의 분명한 설명을 재차 촉구했다. 신 대변인의 설명대로라면 외교부는 이미 AP통신으로부터 전화를 받은 직원의 신원을 파악한 뒤에도 AP통신측에 그 사람이 누구인지 밝히라는 억지 주장을 한 셈이다. 특히 외교부가 AP통신측이 김씨의 이름까지 대면서 확인해 줄 것을 요청했으나 이를 대수롭지 않게 여기고 묵살한 것은 이해가 되지 않는 대목이다. 이번 사태로 외교부와 함께 AP통신의 윤리성도 도마에 오르게 됐다. 김씨 피랍관련 비디오 테이프를 입수하고서도 이를 공개하지 않은 것은 그 의도가 무엇이든 비난 받아 마땅하다는 것이 일반적인 정서다. ◇인책성 개각폭 커질 듯 한편 AP통신 보도가 사실로 드러남에 따라 외교부의 신뢰성은 국내외적으로 큰 타격을 입게 됐고, 그 결과 관련 부처의 대대적인 인책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따라서 총리인준과 관련, 예측되고 있는 정부의 개각폭이 의외로 커질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와 관련, 감사원은 이날 김씨 피살사건과 관련한 감사원 조사대상을 정부 4개 기관으로 확대, 김씨 사망 후폭풍은 걷잡을 수 없이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감사원은 AP통신측에서 김씨 피랍사실 여부를 확인하는 전화를 받고서도 안이하게 대처한 외교부에 감사력을 집중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감사원은 또 국가안전보장회의(NSC)의 협상과정에서의 역할과 대응실태 등에 대한 조사도 할 방침이다. 이번 사건을 통해 극명하게 드러난 정부의 정보력 및 협상력 부재를 전적으로 외교부 탓으로만 규정지을 수 없기 때문이다. 국방부의 경우에도 이라크 현지에 상당수 군 병력이 나가 있으며 이라크 추가파병을 위해 수차례 이라크 현지조사를 했다는 점에서 정보 부실에 대한 조사가 진행될 전망이다. 이밖에 국가 최고의 정보기관이라는 간판을 내걸고 있는 국가정보원에 대해서는 실종 과정, 납치 주체, 협상 진행과정 등과 관련해 이렇다 할 정보를 제공하지 못했다는 지적에 조사의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