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이자·稅 부담에 더 팍팍해진 살림살이

작년 가계소득 중 비소비지출 비중 18.8%로 사상 최대


물가부담은 가중되고 있는데 날이 갈수록 늘어나는 이자 비용이 가계의 삶을 더욱 팍팍하게 하고 있다. 지난해 가계소득 중 세금ㆍ이자비용 등 비소비지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비소비지출이 늘어나는 것은 가계가 실질적으로 처분할 수 있는 소득이 줄어든다는 것을 의미한다.

11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2인 이상 가구의 소득에서 비소비지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18.80%로 전년도보다 0.24%포인트 늘었다. 100만원을 벌면 18만8,000원이 바로 빠져나가는 것이다. 연간 기준으로 지난 2003년 관련 통계를 집계한 이래 최대치다.


지난해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384만1,586원이며 이 가운데 상품이나 서비스 구매 용도 외의 지출인 비소비지출이 72만2,280원에 달한 것으로 조사됐다.

관련기사



비소비지출은 재산세ㆍ소득세ㆍ자동차세 등 세금과 건강보험료ㆍ국민연금ㆍ이자비용 등 경직성 비용이다. 근로자의 월급에서 사전에 공제되고 지급되는 항목이 많아 비소비지출 규모가 커지면 가처분가능소득이 줄어든다.

지난해 비소비지출이 이처럼 증가한 것은 가계대출이 꾸준히 늘면서 이자비용이 늘었기 때문이다. 지난해 월평균 이자비용은 8만7,854원으로 전년도(7만7,777원)에 비해 13% 늘어났다. 전세 가격이 폭등하고 주택담보대출을 통해 생활자금을 마련하려는 수요가 늘면서 가계가 이자로 지출하는 돈이 많이 늘어난 것이다. 국민연금 등 연금 지출과 사회보험 지출도 처음으로 10만원을 넘어섰다. 국민연금 등 연금지출은 10만2,301원으로 전년도의 9만4,760원보다 8% 늘었다. 건강보험과 고용보험 등 사회보험 지출은 10만1,498원으로 전년도의 9만668원에서 11.9% 급증했다. 경상조세도 늘어났다. 지난해 근로소득세와 재산세 등 월평균 경상조세는 11만3,941원으로 2010년의 10만5,319원보다 8.2% 늘었다.

윤홍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