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기업 10곳 중 9곳 "경기 회복 못 느껴"

대한상의 500곳 설문<br>수익성·자금사정 악화로 올 체감 상황 70.5점 그쳐

국내 기업 10곳 가운데 9곳은 최근 경제 회복 기미를 느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전국 500개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대내외 경제상황에 대한 기업인식조사’에서 경기회복을 느끼느냐는 질문에 응답기업의 87.0%가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

기업들은 경기회복을 느끼지 못하는 이유로 판매부진(41.5%)를 가장 큰 이유로 꼽았으며 수익성 악화(28.3%), 주문물량 감소(23.0%), 자금사정 악화(6.5%) 등을 차례로 꼽았다.


기업들은 지난해 말 경영계획 수립 당시 예상한 올해 경제상황을 100점이라고 가정할 때, 최근 느끼는 실제 경제 상황은 평균 70.5로 평가했다. 업종별로는 자동차가 80.3으로 가장 높았으며 섬유ㆍ의복ㆍ신발이 80.0, 음식료ㆍ생활용품(77.3), 조선·플랜트(76.3), 철강·금속(74.5), 고무·종이·플라스틱(70.5) 등의 업종이 평균을 웃돌았다. 반면 석유ㆍ화학ㆍ에너지(63.4), 반도체ㆍ디스플레이(56.6), 가전(57.3) 업종은 평균 이하를 기록했다.

관련기사



올 하반기 경기에 대해서는 ‘상반기와 비슷한 수준이 될 것’이란 응답이 51.8%를 차지했으며 상반기보다 악화될 것이란 답변이 26.8%, 나아질 것이란 답변이 21.4%를 기록했다.

이 같은 경기 회복 부진의 대외 요인으로는 신진국 경제부진(32.6%)과 미국 출구전략 추진에 따른 세계 금융시장 불안(31.2%)이 가장 큰 응답비중을 차지했다. 다음으로는 신흥국 경제둔화(12.8%), 유가 및 원자재가 불안(11.6%), 엔저지속(10.0%) 등의 순이었다.

대응 방안은 마땅치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부진대책과 관련‘비용 절감·생산성 향상’이 절반이 넘는 53.0%를 차지했으며 해외시장 진출(8.6%)이나 타사와의 제휴·M&A(1.5%) 등 적극적 타개책을 강구하고 있는 기업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경기회복을 위한 정부과제로는 물가·원자재가 안정(31.8%), 외환·금융시장 안정(21.3%), 수출기업 지원확대(10.2%), 일자리 창출 지원(9.7%) 등의 순이었다.

전수봉 대한상의 조사1본부장은 “내수부진, 미국 양적완화 축소 우려, 중국의 성장둔화 등 대내외 경제 불안요소들로 인해 상반기에 이어 하반기에도 기업경영 여건이 쉽지 않아 보인다”며 “경기가 완연한 회복세를 보일 수 있도록 경기부양을 위해 더욱 노력하고 외환·금융시장 안정, 자금사정 개선 등 기업 애로해소를 위해 정책을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


김흥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