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가사서비스 지출 90년 이후 4배 증가

3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98년 국민소득통계에 잡힌 가사서비스 비용은 9천335억원으로 국내총생산(GDP)의 0.2%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98년 가사서비스와 관련된 지출 규모는 외환위기 여파로 97년의 9천566억원보다는 다소 감소했으나 90년에 비해서는 4배가량 확대된 것이다. 연도별로 보면 90년 2천44억원에서 91년 2천423억원, 92년 3천381억원, 93년 4천280억원, 94년 5천472억원, 95년 6천789억원, 96년 8천137억원 등으로 매년 증가해왔다. 작년 들어서는 4.3분기까지 6천931억원을 기록했다. 국민소득통계에 반영되고 있는 가사서비스는 요리사, 가정부, 파출부, 유모, 개인비서, 정원관리인, 가정교사 등의 유급고용인에 의해 생산된 서비스가 해당된다. 그러나 주부의 무급가사노동 등 가계가 자가최종소비를 위해 생산하는 대부분의가사서비스는 포함되지 않는다. 자가소비를 위한 가계의 가사서비스를 포함하지 않는 이유는 다른 경제부문에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 독립적인 활동인데다 서비스의 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적절한가격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최근 일본 경제기획청 경제연구소가 요리, 청소, 육아 등 여성의 무급가사노동을 평가한 결과 GDP의 15∼20%인 것으로 추정되기도 했다. 그러나 이 평가에는 도로및 공원의 청소, 재해지 등에의 자원봉사, 정치 및 종교활동 등과 같은 사회활동도포함돼 있어 가사노동과는 다소 다르다는 것이 한은의 설명이다. 한은 관계자는 “자가소비를 위한 가사서비스를 국민계정체계에 포함할 경우 거의 모든 성인인구가 경제활동인구 및 취업자 범위에 포함되게 돼 고용통계의 왜곡을야기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