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채권은행 임직원, "워크아웃기업과 유착가능성"

채권은행 임직원, "워크아웃기업과 유착가능성" 정부의 공적자금을 지원받아 워크아웃을 진행중인 채권은행단의 임직원들이 퇴직후 대거 관련 워크아웃 기업의 사외이사, 감사 등으로 이동해 채권은행과 워크아웃 기업의 유착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는 금융감독위가 5일 국회 정무위 소속 한나라당 정형근(鄭亨根)의원에게 제출한 국감자료를 분석한 결과 나왔다. 이자료에 따르면 금년 8월말 현재 워크아웃이 진행중이거나 이를 끝낸 71개기업의 경영진에 포함된 전직 은행간부는 58개 기업에 117명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鄭의원에 따르면 워크아웃 기업에 취업한 전직 은행 임.직원은 대표이사 및 사장 2명, 부사장·전무·상무 7명, 사외이사 78명, 감사 30명 등인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한빛은행의 경우 지난 98년 9월부터 금년 5월까지 퇴직간부 25명을 14개기업의 대표이사, 부사장, 감사, 사외이사 등으로 내보냈으며, 산업은행의 경우도 퇴직 임직원 16명이 14개 워크아웃 기업의 전무·감사·이사 등으로 자리를 옮긴 것으로 나타났다. 또 채권단 추천을 통해 워크아웃 기업의 사외이사로 선임된 채권 금융기관 출신사외이사 65명 가운데 38명(58.5%)이 단독추천으로 경쟁없이 선임된 것으로 나타났다. 양정록기자 입력시간 2000/10/05 17:15 ◀ 이전화면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