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CEO와 Q&A] 금성테크, “거래소 상장요건 거의 충족시켰다”

금성테크는 운영자금 조달을 위해 보통주 157만주, 11억원 규모의 제3자배정 유상증자를 결정했다고 16일 공시했다. 이번 유상증자 대상자는 이승우씨 97만주와 산수금속 60만주로, 발행물량은 모두 1년간 보호예수된다. 신주발행가는 720원(액면가 500원), 상장예정일은 8월30일이다. 같은 날 금성테크는 같은 목적으로 보통주 27만주, 2억원 규모의 자기주식 장외처분도 결정했다. 박주형 대표이사와 얘기를 나눠봤다. Q. 유상증자를 통해 확보한 11억원은 어디에 쓰나 A. 일부 부채 정리하고, 또 일부는 운영자금으로 쓸 것이다. Q. 이승우씨와 산수금속은 어떤 관계인가 A. 동종업계에 도와주는 분들이다. 스크랩쪽 사업 하시는 분들. Q. 6월에도 정영두ㆍ서용현씨를 대상으로 11억 유상증자 한 바 있다. A. 그분들도 마찬가지다. Q. 금연초 5월30일 일본향 50억, 줄기세포 배양액 화장품 6월29일 15억, 5월9일 20억 계약 해지 됐다. A. 전 대표가 진행한 부분인데, 정리중이다. 주가 부양을 위한 재료로 벌인 사업인 듯한데, 실익이 없어서 계속 유지할 필요를 못 느끼고 있다. 합병전 회사와는 전혀 무관한 사업이다. 지금 정리수순이라고 보면 된다. Q. 올해 매출 목표는? 전년보다 늘어나나 A. 올해 매출은 작년 수준밖에는 안될 것이다. 전 대표의 배임ㆍ횡령 등으로 회사가 그로기 상태로 밀려 있었다. 지금은 아니지만, 작년 6월까지 키코 피해도 컸다. 원래 개인적인 계획은 올해 매출 400억원 정도 계획했었다. 하지만 소송 등 문제로 정상적인 영업도 안되고, 여기저기 불려다니느라 대외 비즈니스가 엉망이 됐다. 올해는 작년 대비 90~110% 사이일 것이다. 일단 작년 만큼만 하면 힘든 상황 넘어가는 단계라고 생각하고 있다. Q. 1970년생이면 굉장히 젊으시다. A. 한 10년 넘게 건설쪽 공조설비와 원재료 수출입, 스크랩 사업을 해왔다. 그전에는 건설ㆍ환경 관련 기계를 만들던 회사다. 폐기물 가공해서 판매를 하는 그런 기계. 내 나름대로는 이 바닥에서 베테랑으로 통하는데, 상장하고 나니 이쪽은 또 굉장히 복잡하더라. 미숙했는데 회사 직원들 어드바이저들이 잘 진행해준 것 같다. 원래 공장일이나 영업은 자신있다. 그런데 금연초ㆍ화장품 같은 것은 일반 제조업이 아닌데다, 도무지 실제 이익이 안나서 못하겠더라. 이걸 다 개선하려니 향후 계획 같은 것을 나름대로 짜고 있고, 또 차츰 차츰 다져갈 것이다. Q. 현재 주력부문은 무엇인가. A. 말한대로 건설쪽 설비(공조사업)와 원재료 수출입ㆍ스크랩 사업이다. 반도체로는 클린룸ㆍ항온항습기다. 귀뚜라미ㆍ범양ㆍ삼성 쪽에 납품해왔다. 현재 제자리 걸음 수준이라 답답하지만, 일부 자금만 좀 풀리면 큰 어려움 없이 잘 돌아갈 것이다. 부채가 크게 많은 것도 아니니. Q. 4월 상장폐지에 대한 이의신청을 통해 8월25일까지 개선기간을 받았다. A. 우리 입장에서는 당초 거래소에서 요구한 부분들은 거의 다 충족시켰다고 보고 있다. 크게 문제될 것이 없는 것 같다. 물론 거래소가 어떻게 볼 지는 모르겠다. 대표인 나도 지분을 모두 회사에 내놨고, 그 외에도 할 수 있는 것은 모두 했다. 유상증자로 확보한 자금도 조건 이상으로 채웠고, 부채도 상환했다. 9월말이면 상장폐지 관련 위원회 구성이 되고 그때 결정이 날 것. 그때까지는 바짝 웅크리고 있다가, 다 끝나면 본격적으로 나설 것이다. 영업적인 부분은 지금도 개선중이다. 18억원 유상증자 완료될 때까지는 사실 어떻게 해야할 지 모르다가, 이제 조금 여유가 생겼다. 나는 경영보다는 영업쪽이라, 향후 전문경영인을 모셔올 것이다. 지금은 개선기간이라 안되지만. 내가 모르는 걸 굳이 움켜쥐고 할 이유가 없다. 거래소에서도 그렇게 하는 것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는 것으로 안다.

관련기사



이재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