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심층진단] ■IMT-2000 장비 공급 경쟁

[심층진단] ■IMT-2000 장비 공급 경쟁 LG, 한발 앞서 개발장비 시연회 차세대 이동통신(IMT-2000) 장비 공급을 놓고 국내외 업체들이 치열한 줄다리기를 벌이고 있다. 오는 2002년 5월로 예정된 IMT-2000 서비스를 위해 SK-IMT와 한통IMT는 먼저 개발을 끝낸 후 납품하는 업체의 장비를 사용할 수 밖에 없다. 이에 따라 국내외 장비업체들은 조속한 장비 개발을 위해 경쟁과 협력의 이중주를 연출하고 있다. 국내 업체들은 외국업체들에 비해 우선권을 갖고 있다. 무역적자 등 부작용을 우려해 정부는 가급적 외산장비 도입을 최소하기를 바라고 있다. SK나 한통도 외국업체보다는 국내업체들을 선호한다. 일단 장비 납품이 시작되면 서비스 등 여러 면에서 국내업체와의 거래가 유리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에릭슨 등 외국업체들은 국내업체들에 비해 비동기 장비 개발에서 한 발 앞서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이에 따라 LG전자 등 국내 업체들은 일단 독자적인 개발을 추진하되 기술력이 부족한 부분에 대해서는 외국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보완해 나갈 방침이다. 현재 국내 업체 중 비동기 장비 분야에서는 LG전자가 다소 우세한 것으로 평가된다. LG는 일찌감치 비동기 장비 분야에 연구개발 인력 등 경영자원을 우선적으로 투입했기 때문이다. LG는 최근 자신들이 개발한 시험 장비를 이용, SK텔레콤 임원들을 대상으로 시연회를 개최했다. LG 관계자는 "이날 SK텔레콤 임원들은 시연회에 대해 높이 평가했다"며 " 오는 3월까지 기지국에 필수적인 모뎀 칩 개발을 완료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현재 LG는 내년 상반기까지 시스템 개발을 모두 완료한 후 2002년2월부터 시범 서비스에 나설 방침이다. LG는 모뎀 칩 개발 결과가 만족스럽지 못할 경우, 에릭슨 등 외국업체와의 제휴로 풀어 나갈 계획이다. 동기식 장비에 치중해 온 삼성전자도 최근 들어 비동기 장비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이를 위해 최근 통신 관련 전문 인력을 공개 채용, 장비 개발 분야에 투입할 방침이다. 삼성으로서는 최근 불거지고 있는 IMT-2000 서비스 연기론이 더할 수 없는 호재다. 장비개발에 필요한 시간을 벌 수 있기 때문이다. 당초 삼성은 오는 2003년 9월을 장비개발 완료 시점으로 잡았으나 이를 최대한 앞당길 계획이다. 에릭슨 등 외국업체들도 대대적인 시연회 등을 통해 자신들의 기술력을 과시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이들은 LG전자 등 국내 업체들과의 제휴를 통해 시장 공략을 준비중이다. 국내업체들이 일부 핵심 칩 등만을 구매하려는 반면 이들 외국업체는 팩키지로 장비를 판매할 방침이다. 서로 이해가 엇갈리는 셈이다. 외국업체들은 단기간에 장비를 개발하는 것이 어려운 만큼 국내 업체들이 자신들에게 도움의 손길을 뻗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정문재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