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수도권 시장은 반사이익?

강남권 다시 주목 전망속 당분간 약세기조에 무게

신행정수도건설특별법의 위헌 결정으로 수도권 지역 부동산시장이 반사이익을 누릴지 여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신행정수도 이전 계획은 수도권에 집중된 부동산 투자를 충청권으로 대거 이동시키는 데 결정적 역할을 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정부의 고강도 투기억제대책 여파가 충청권보다 서울 등 수도권 지역에 더 크게 미치고 있는 게 현실이다. 현재로서는 반사이익을 누릴 것이라는 견해와 약세 기조가 지속될 것이라는 관측이 함께 나오고 있지만 후자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강남 개포동 K공인의 한 관계자는 “수도이전 위헌 결정으로 강남권이 또다시 주목받을 것으로 보인다”며 “충청권을 중심으로 지방으로 몰렸던 투자수요가 수도권으로 회귀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기업도시 및 레저단지 건설 등으로 인해 지방의 부동산 투자 매력은 여전하지만 이번 위헌 결정으로 관심은 한결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것. 그러나 김선덕 건설산업전략연구소 소장은 “실물경기 침체, 물량공급 과다, 종합부동산세 도입 등 부동산 세제 개편 등의 영향권에서 수도권 부동산시장도 예외는 아니다”며 “위헌 결정으로 수도권 지역의 투자 수요가 살아난다고 보는 것은 현 상태로서는 어렵다”고 말했다. 실제 지난 2002~2003년 수도권에 대거 건립된 아파트ㆍ주상복합ㆍ오피스텔들이 내년에 대거 입주, 부동산시장은 여전히 과다공급 현상이 빚어질 수밖에 없다. 실물경기 침체에 따른 주택담보 대출 연체율 증가 역시 쉽게 해소되기 어려운 사안이다. 한마디로 충청권 땅값ㆍ집값의 큰 폭의 하락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고 수도권 주택시장이 반사이익을 누려 현재의 하락ㆍ약보합 장세가 급격히 바뀌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