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대통합신당 본경선도 '첩첩산중'

표심왜곡등 불공정 경선 논란 '뜨거운 감자'

대통합민주신당이 5일 대통령 후보 선출을 위한 첫 산은 넘었지만 앞으로 가야 할 길은 멀다. 대통합신당 안팎에서는 ▲경선룰 논란 ▲예비후보 간 네거티브 공방 확산 ▲장외 예비후보들의 독자행보 ▲대표 공약 부재 ▲노심(盧心)의 향방 등을 오는 10월15일 본경선까지의 주요 변수로 지적하고 있다. 특히 이중 본경선 룰과 관련해서는 벌써부터 후보 간의 신경전이 시작되고 있다. 손학규 후보 측은 이날 컷오프 과정에서도 특정 후보가 동원한 지역의 선거인단이 과도하게 포함돼 표심을 왜곡시켰다면서 본경선에서 보완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손 후보 측이 제시하는 보완책은 본경선에서 선거인단 투표와 별도로 일반국민 여론조사 결과를 반영해야 한다는 것. 손 후보 측 김부겸 선거대책 부본부장은 5일 예비경선 선거인단 구성에 대해 “특정지역에선 여론조사 표본이 과대 반영돼 그 비율이 (정상치의) 400%에 이른다”고 조직선거의 폐해를 지적했다. 이에 대해 정동영ㆍ이해찬 후보 측은 일반국민 여론조사 도입이 국민경선 취지에 어긋난다며 반대하고 있다. 정 후보 측 이강래 선거대책 부본부장은 “일반국민여론조사를 도입하면 한나라당 후보를 지지하는 사람이 우리 측에서 가장 경쟁력이 낮은 후보를 본경선 승자로 만드는 역선택이 발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 부본부장은 그러나 “손 후보가 들러리를 서기 위해 여기까지 온 것이 아니다”며 “여론조사 도입만큼은 양보할 수 없다”고 강하게 반발했다. 후보 간 합종연횡 과정에서 상호 네거티브 공방이 과열될 수 있다는 점도 경선의 파행 요소로 꼽힌다. 특히 선두권인 손 후보에 대한 경쟁후보들의 집중적인 네거티브 공격이 예상되고 있으며 또 다른 유력 주자인 정 후보 역시 친노 후보들의 집중적인 견제 대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 범여권 후보하면 딱 떠오르는 간판급 ‘킬러 공약’이 없다는 점도 경선 흥행의 악재로 꼽힌다. 각 후보들은 컷오프 마감과 더불어 본격적인 공약 대결을 펼치겠다는 입장이지만 범여권 후보들이 대부분 남북경협 확대와 중소기업 우대정책, 복지확대 등의 비슷비슷한 정책을 내놓고 있어 차별화가 쉽지 않다는 지적이다. 이밖에도 독자 행보를 걷고 있는 문국현 예비후보의 제3의 신당 창당 여부도 대통합민주신당의 경선에 대한 스포트라이트를 흐릴 수 있는 요소로 꼽힌다. 또 당이 청와대와의 관계를 악화시킬 경우 노 대통령의 지지를 받기 힘들다는 점도 고민해야 할 요소로 지적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