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상근직 근로자의 평균임금이 구매력 기준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의 75% 수준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평균 증가율이 1990년대 이후 갈수록 떨어지고 있어 선진국과의 격차를 줄이기 쉽지 않을 것으로 분석됐다.
25일 OECD의 '고용전망 2011(Employment Outlook 2011)'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상근직 근로자의 평균 임금은(구매력 기준)은 3만3,221달러였다.
이는 조사대상 28개국 중에서 19위에 그친 것으로, 회원국 평균(4만3,933달러)의 75.6%에 불과했다.
명목 임금은 2만6,538달러로 회원국 평균(4만8,488달러)의 54%, 순위로는 28개국 중 22위를 기록했다.
상근직 근로자 임금(구매력 기준)이 가장 높은 나라는 미국으로 5만2,607달러에 달했고 룩셈부르크가 5만2,110달러로 그 뒤를 이었다.
스위스(4만9,810달러), 네덜란드(4만5,671달러), 노르웨이(4만4,164달러), 영국(4만4,8달러), 덴마크(4만3,190달러), 캐나다(4만1,961달러) 등도 상근 근로자 임금이 4만달러를 넘었다.
우리나라의 연평균 명목임금 증가율은 1990∼1995년에는 회원국 평균의 3.6배에 달했으나 2000∼2005년에는 3.5배로 내려간 뒤 2005∼2010년에는 2.1배까지 떨어졌다.
특히 2005∼2010년에는 동유럽 국가는 물론 캐나다, 핀란드, 아일랜드, 노르웨이 등 북미와 북유럽 선진국보다 임금증가율이 뒤져 이들 국가와 격차가 오히려 더 벌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온라인뉴스부